조선어

[중한 수교 30년 특별 기획] 중국과 한국의 30년을 지켜보다-문화의 이야기

criPublished: 2022-08-22 12:44:28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남: 중국과 한국간에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문화를 화이부동의 자세로 대하고, 같은 것은 추구하고 다른 것은 내려놓는 구동존이의 자세로 교류에 임하면 향후 30년, 더 나아가서 긴 시간 중국과 한국의 문화교류가 더 빨리 추진되고 양국관계도 계속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입니다.

여: 그렇습니다. 김진곤 원장은 또 윈윈이 가장 보편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이 문화영역이라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김진곤원장(영상):중국인들이제일좋아하는말중에하나가바로共赢(상생)인데나도승자가되고너도승자가되는이윈윈이문화영역에서가장보편적으로구현될수있습니다.예를들어제가가지고있는핸드폰을누구에게주면그사람에게는생기고나에게는없어지는데이는제로섬게임입니다.사물의세계에서는하나를누군가가지면다른누군가는잃을수밖에없는세계인것입니다.“무에서유가생긴다.무에서유가생긴다”는그런개념보다는유가있으려면무가있을수밖에없다는것이니다.이세상의원리를보려면하나가생기려면한쪽에서는없어져야되는이것이제로섬입니다.그렇지만이제는콘텐츠가생겼습니다.예를들어제가가지고있는음악파일을누구에게위챗으로보내주면여기유가생겼고,나에게도그대로유가있습니다.이것을유생유라할수있고이게윈윈의세계입니다.앞으로한중간에물론무역도상호보완하면얼마든지윈윈이되고가장윈윈이크게잘되는분야에문화영역이고콘텐츠영역입니다.

남: "무에서 유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유에서 유가 생기는 윈윈의 분야가 바로 문화영역이다."라는 중국통으로서 김진곤원장의 독특한 견해군요.

여: 그렇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30년을 지켜본 김진곤 원장은 또 미래 30년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공통점이 심리적 공통점을 강화하는 쪽으로 작용해야 한다고 하면서 문화에서는 주인의 개념보다는 주인공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남: "주인의 개념이 아니라 주인공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문화적인 주장인데요 함께 들어보죠.

김진곤 원장(영상): 앞으로 미래 30년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공통점이 심리적 공통점을 강화하는 쪽으로 작용해야지 이것이 충돌로 가서는 안 됩니다. 사실 문화에는 주인의식은 필요하지만 주인 주장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는 내가 이 문화의 주인이라기보다는 내가 이 문화의 주인공이다 라는 의식이 필요합니. 바둑을 예로 들면 바둑이 한국 것이냐 중국 것이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바둑을 둘 줄 모르면 주인공이 못 되고 나는 바둑을 둘 줄 아니 바둑의 주인공이 되는 것입니다. 중국문화를 또 하나 예를 들면 제가 중국에 와서 다시 공자도 공부하고 맹자도 공부하고, 순자고 공부하고 있으니 그 문화의 주인공은 내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화에는 네꺼다 내꺼다 하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는 너의 것이다 나의 것이다 하는 소유욕을 바탕으로 한 주인의 개념이 아니라 나도 잘 한다, 나도 김치 담글 줄 안다. 나는 중국인들보다 공자를 많이 알 수 있어 라는 이런 어떤 오너쉽이 아니라 마스타쉽, 주인이 아니라 주인공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양국이 앞으로 문화를 바탕으로 마음을 바탕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루어 나가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가 아닌가 싶습니다.

남: 김진곤 원장의 말처럼 문화와 마음을 바탕으로 하면 향후 30년 중한관계는 더 좋은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首页上一页...23456全文 6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