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와족의 역사

criPublished: 2019-03-20 18:46:51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와족(佤族)은중국과미얀마에서살고있는소수민족의하나이고그민족언어는와족어로남아시아어계에속한다.와족은통용문자가없으며과거에는실물과목각으로사건을기록하고수를세었으며정보를전달하군했다.

와족은주로중국운남성(雲南省)서남부의창원(滄源),서맹(西盟),맹련(孟連),경마(耿馬),난창(澜沧),쌍강(雙江),진강(鎭康),영덕(永德)등현과미얀마의일부주들에분포되어있다.중국경내에서는일부와족인들이운남성의보산시(保山市),시쐉반나(西雙版納)따이족자치주,곤명시(昆明市),덕굉(德宏)따이족징퍼족자치주등지에산재해살고있기도하다.

이들의민족명칭을보면과거에는그거주지역에따라달랐다.진강,영덕일대의와족인들은“와(佤)”로자칭했고경마,쌍강,창원,난창일대의와족인들은“바요(巴饒)”,“부요(布饒)”등으로,서맹,맹련일대에서는“아와(阿佤)”,“아와라이(阿佤萊)”,“러와(勒佤)”등으로자칭했다.

과거에는한족이나따이족,라후족등이와족인들을부르는호칭역시서로달랐다.따이족들은진강,영덕일대의와족을“라(拉)”라불렀고한족들은이들을“본인(本人)”이라호칭했다.한족과따이족,라후족은기타지역에살고있는와족들을“아와”혹은“카와(佧佤)”로통칭했다.여기서“카”는따이어로노예라는뜻을내포하고있으며이는와족에대한멸시와모욕적인호칭이었다.1949년10월1일중화인민공화국건국후대다수와족인들의뜻에따라민족명칭을와족으로확정했다.

와족의기원에대해서는“사강리(司崗里)”라는신화전설을참고로할수있다.창원지역와족들의해석에따르면여기서“사강”은“조롱박”이고“리”는나오다는뜻인데결국조롱박에서나온사람들이라는뜻이다.서맹에살고있는와족들의해석은좀다르다.이들은“사강”을“바위동굴”로해석하기도하는데이는“동굴에서걸어나온사람들”이라는뜻을내포한다.물론이들의해석이좀씩다르기는하지만아와산을와족의발상지로삼는점은동일하다.

진나라이전시대의《산해경(山海經)》이나《죽서기년(竹書紀年)》,《국어(國語)》등저서에는모두“쵸우요우(僬侥)”라는민족을기재한내용이있으며《후한서(後漢書)》에도이단어를사용한내용이있다.여기서“쵸우요우”는와족의자칭인“파요우”와비슷하다.이로부터유추해볼때쵸우요우는이어계언어를사용하는여러민족선민들의통칭이라는전문가들의견해도있다.

기원전109년에한무제(漢武帝)가익주군(益州郡)을설치하고그관할지역이지금의보산시주변을포함했다.이때부터와족거주지역은서한(西漢)의통치를받게되었다.기원69년동한(東漢)이영창군(永昌郡)을세우면서그관할범위는지금의임창시(臨滄市),보이시(普洱市),시쐉반나,덕굉(德宏)등와족의분포지역을포함했다.

당나라 때에 와서 운남의 난창강과 누강유역은 여러 민족이 혼거하여 살았고 그 민족들의 호칭도 많았다. 그중에서 “왕”, “왕쥐자”, “왕와유” 이런 명칭들은 현재 와족의 자칭인 “와”와 비슷하다고 볼수 있다.

원나라때의“생포(生蒲)”라는민족명칭기록이있는데이는주로“와족”을지칭하는것이라는연구결과도있다.

명나라 때에는 이곳에 주와 부를 내왔고 이어 경마선무사를 따로 세우기도 있다. 청나라는 명나라 때의 제도를 답습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영국은 1885년에 미얀마를 병탄한후 운남에 그 침략의 화살을 돌렸다. 이들은 무장한 군사들과 선교사들을 아와산구에 파견해 지형을 관찰하고 지도를 그렸으며 와족인들에게 정부와의 분열을 사주했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