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와족의 역사

criPublished: 2019-03-20 18:46:51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와족(佤族)은중국과미얀마에서살고있는소수민족의하나이고그민족언어는와족어로남아시아어계에속한다.와족은통용문자가없으며과거에는실물과목각으로사건을기록하고수를세었으며정보를전달하군했다.

와족은주로중국운남성(雲南省)서남부의창원(滄源),서맹(西盟),맹련(孟連),경마(耿馬),난창(澜沧),쌍강(雙江),진강(鎭康),영덕(永德)등현과미얀마의일부주들에분포되어있다.중국경내에서는일부와족인들이운남성의보산시(保山市),시쐉반나(西雙版納)따이족자치주,곤명시(昆明市),덕굉(德宏)따이족징퍼족자치주등지에산재해살고있기도하다.

이들의민족명칭을보면과거에는그거주지역에따라달랐다.진강,영덕일대의와족인들은“와(佤)”로자칭했고경마,쌍강,창원,난창일대의와족인들은“바요(巴饒)”,“부요(布饒)”등으로,서맹,맹련일대에서는“아와(阿佤)”,“아와라이(阿佤萊)”,“러와(勒佤)”등으로자칭했다.

과거에는한족이나따이족,라후족등이와족인들을부르는호칭역시서로달랐다.따이족들은진강,영덕일대의와족을“라(拉)”라불렀고한족들은이들을“본인(本人)”이라호칭했다.한족과따이족,라후족은기타지역에살고있는와족들을“아와”혹은“카와(佧佤)”로통칭했다.여기서“카”는따이어로노예라는뜻을내포하고있으며이는와족에대한멸시와모욕적인호칭이었다.1949년10월1일중화인민공화국건국후대다수와족인들의뜻에따라민족명칭을와족으로확정했다.

와족의기원에대해서는“사강리(司崗里)”라는신화전설을참고로할수있다.창원지역와족들의해석에따르면여기서“사강”은“조롱박”이고“리”는나오다는뜻인데결국조롱박에서나온사람들이라는뜻이다.서맹에살고있는와족들의해석은좀다르다.이들은“사강”을“바위동굴”로해석하기도하는데이는“동굴에서걸어나온사람들”이라는뜻을내포한다.물론이들의해석이좀씩다르기는하지만아와산을와족의발상지로삼는점은동일하다.

진나라이전시대의《산해경(山海經)》이나《죽서기년(竹書紀年)》,《국어(國語)》등저서에는모두“쵸우요우(僬侥)”라는민족을기재한내용이있으며《후한서(後漢書)》에도이단어를사용한내용이있다.여기서“쵸우요우”는와족의자칭인“파요우”와비슷하다.이로부터유추해볼때쵸우요우는이어계언어를사용하는여러민족선민들의통칭이라는전문가들의견해도있다.

기원전109년에한무제(漢武帝)가익주군(益州郡)을설치하고그관할지역이지금의보산시주변을포함했다.이때부터와족거주지역은서한(西漢)의통치를받게되었다.기원69년동한(東漢)이영창군(永昌郡)을세우면서그관할범위는지금의임창시(臨滄市),보이시(普洱市),시쐉반나,덕굉(德宏)등와족의분포지역을포함했다.

당나라 때에 와서 운남의 난창강과 누강유역은 여러 민족이 혼거하여 살았고 그 민족들의 호칭도 많았다. 그중에서 “왕”, “왕쥐자”, “왕와유” 이런 명칭들은 현재 와족의 자칭인 “와”와 비슷하다고 볼수 있다.

원나라때의“생포(生蒲)”라는민족명칭기록이있는데이는주로“와족”을지칭하는것이라는연구결과도있다.

명나라 때에는 이곳에 주와 부를 내왔고 이어 경마선무사를 따로 세우기도 있다. 청나라는 명나라 때의 제도를 답습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영국은 1885년에 미얀마를 병탄한후 운남에 그 침략의 화살을 돌렸다. 이들은 무장한 군사들과 선교사들을 아와산구에 파견해 지형을 관찰하고 지도를 그렸으며 와족인들에게 정부와의 분열을 사주했다.

아와산구는자원이매우풍부한지역이어서영국은오래전부터반훙(班洪),반로(班老)일대의은과알루미늄광산에눈독을들여왔다.1934년1월영국은공공연히광산구역을침략하여“반훙사건”을일으켰다.이지역의여러소수민족들은침략자들에맞서싸웠고주변의여러소수민족들은1400여명에달하는“서남변방민중의용군”을결성해침략자들과싸웠다.1936년반훙지역을중심으로와족의17개부락이“조국동포들에게고하는글”을발표해침략자들의만행과결코침략자들에게무릎을꿇지않겠다는결연한의지를보였다.이는국내여론의지지를받았고영국의강도행위는결국실패로돌아갔다.

항일전쟁 때 와족과 여러 민족은 일본의 침략에 항거해 싸웠으며 인력과 재력, 물력을 모아 운남 서남지역의 항일부대들을 지원했고 “경마창원지대”, “아와산구 유격지대”, “아와산특구자위지대” 등 무장력을 형성해 침략자들과 목숨을 건 싸움을 진행했다. 이들은 또 1944년 항일부대와 함께 반훙, 반로 등 지역에서 일본침략자들을 물리치고 잃었던 땅을 수복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 와족의 거주지역은 경제발전의 불균형으로 사회조직에도 구별이 있었다. 아와산 중신지역의 와족은 그때 까지도 마을을 단위로 하는 분산상태였다. 마을은 지역, 경제, 정치 및 군사단위였으며 부계씨족사회에서 발전한 원시농촌집합체의 성격과 조직형식을 가지고 있었다. 마을은 그 내부에 몇개의 작은 마을로 구성되었으며 여기에는 몇개 가족과 부동한 성씨를 가진 개별적인 가정이 포함되었다.

그외 영덕과 진강 등지의 와족인들은 명나라, 청나라 때부터 줄곧 따이족 토사의 통치를 받았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에는 국민당정부의 보갑제도를 실행했다.

중화인민공화국건국후1954년6월에이르러맹련따이족라후족와족자치현을설립했고1955년10월에는경마따이족와족자치현을세웠으며1964년2월에는창원와족자치현을설립,1965년3월에는서맹와족자치현을,1985년12월에는쌍강(雙江)라후족와족부랑족따이족자치현을설립했다.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