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하니족의 문화와 예술

criPublished: 2019-06-19 14:55:12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고가를 부르는 하니족 여성들

하니족의 문화예술 형식에는 신화와 전설, 시가, 이야기, 우화, 동요, 속담,수수께끼 등이 있다.

하니족의전통문학은구두문학으로서구두로세세대대전해져내려오면서부단히풍부해졌다.신화전설과‘서사시’는하니족문학에서역사가가장유구한부분이다.‘창세기’가천지만물,산과하천의유래를해석했나하면‘합십형제전인종(傳人種)’은인류가심각한물피해를이겨내면서대를이어나간이야기를담고있고‘제룡춘규자가’(祭龍規矩歌)와‘노인안장가’,‘색시얻기의노래’등은하니족의다신숭배의종교관념과민족특색이다분한세시풍속을보여주고있어하니족의사상의식과풍습을장악하는중요한자료가되고있다.

그 외 하니족은 장기간 한족과 잡거하면서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한족의 민간이야기인 ‘도원결의’, ‘량산백과 축영대’ 등은 하니족에 의해 개편되어 하니족 민족특색을 지닌 이야기로 각색되기도 했다. 한족 민간문학의 전파가 하니족 문학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하니족은음악과가무를즐기는민족이다.남녀노소할것없이항상자신의악기를지니고다닌다.하니족의총각들은삼현과사현을즐겨켜고처녀들은‘바우’(巴烏)와‘샹메이’를즐겨불며남자애들은리코더를즐겨불고노인들도특제‘소바우’를항상지니고다닌다.특히명절이나성대한제사장소에서징과북등타악기는필수적이다.

‘바우’는 하니족 특유의 악기이다. 가는 대통으로 제작한 ‘바우’는 구멍이 5개 있고 모양새가 피리와 비슷하며 음색이 우아하고 중후하며 간절해 서정을 토로하기에 제격이다. 한편 죽편으로 제작한‘샹메이’는 소리가 섬세하고 부드러워 첫 사랑에 빠진 소녀의 미묘한 심경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

하니족의음악은동아시아악계에속하는데민가가가장유명하다.하니족의민가는주로‘하바’(哈巴)와’아치구’(阿其古)두가지로나뉜다.그중홍하일대에서유행하는‘하비’가가장오래된서사민가로서전문모셔온가수또는노인이명절이나제사의식거행시부른다.내용에는천지개벽,민족이주,생산생활,종교신앙등이포함된다.‘하바’는보통‘사라이’로시작을떼며한명이주창(主唱)하고관객들이매단락결속시‘사-사~’라고갈채를보내며음악과언어가긴밀히결부되어설창의특징을지닌다.

하니족 지역에 가장 많이 보류된 민가는 산과 들판에서 즉흥적으로 부르는 민가로서 ‘아치구’또는 ‘아러얼’이라고 한다. 사랑과 생활을 노래하고 노동을 구가한 이런 민가는 선율이 아름답다. 높은 소리로 부르는 민가는 산간에서 부르는 노래로 정서가 격앙되고 경쾌하며 낮은 소리로 부르는 민가는 보통 사랑노래로 가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여러 세시풍속 의식 중에 불리는 하니족 민가도 아주 풍부하고 이색적이며 장례식, 결혼식, 일상 제사때 부르는 민가가 모두 별도로 있다.

하니족은또다성부민가가유명하다.운남아자하(阿扎河)향푸춘(普春)은하니족다성부민가의발원지이다.8성부민가‘모심기산노래’는하니족의가장오래된전통민가로알려져있다.천백여년간노동과정에‘모심기산노래’가창작되었는데푸춘에서는16세이상의처녀와중노년여성이모두이노래를부를줄안다.하니족의다성부민가는국내외음악계의큰주목을받고있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