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카자흐족의 세시풍속과 금기

criPublished: 2019-06-12 16:37:53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카자흐족은 노래를 떠날서는 논할수 없으며 노랫소리가 그들의 일생을 동반한다고 할수 있다. 카자흐족은 기마민족으로 대부분 시간을 말잔등에서 보내 왔다. 이들은 남녀로소를 불문하고 방목이나 이주 때는 말을 타군 했다. 어린이들은 걸음마를 탈 때부터 말타기를 배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기에 노래와 말은 카자흐족의 양 날개이고 두개의 중요한 축이라고 한다.

아이의 출생은 온 마을의 희사이고 온 마을 사람들이 와서 축복을 해준다. 주인은 양을 잡아 손님을 대접하고 손님들은 태어난 아이를 위해 “탄생가”를 부르는데 이런 경축행사는 3일간 지속된다. 아이가 태어나서 7일 때면 이름을 지어주는 명명식과 “요람례”를 진행한다. 이때에도 주인집에서는 양을 잡고 온 마을 사람들이 모이며 아이를 위해 “요람가”를 불러준다. 여러 사람들의 노랫소리와 함께 아이를 요람속에 눕힌다. 남자아이들은 예닐곱살 정도가 되면 “할례”를 치른다.

카자흐족의 청년남녀들의 결혼은 그 식순이 매우 복잡하다. 과거에는 부모들이 자식들의 혼인을 도맡아서 결정했고 예물도 많이 준비했다. 그 과정을 보면 혼담나누기, 정혼, 납폐, 출가 네개 식순은 여자집에서 진행한다. 나머지 두가지인 납폐자랑, 영친은 남자집에서 진행된다. 혼례식 전날에는 남녀 쌍방이 각기 청해온 가수들이 노래대창 즉 노래시합을 하는데 그 가사는 즉흥으로 지은 것이다. 어느 한쪽이 질 때까지 시합은 계속되는데 어떤 경우에는 날을 새기도 한다. 이때는 이튿날에 이어서 진행하기도 된다.

혼례식 날에는 신부가 “곡가가” 즉 시집가면서 우는 누래를 부름으로써 부모와 식구들과의 이별을 아쉬워한다. 재미 있는 것은 신부측 둘러리가 “권가가” 즉 시집가기를 권하는 노래를 불러 신부의 마음을 달래준다. 영친을 손 사람들은 “촉가가” 즉 출가를 재촉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어서 길을 떠나기를 권한다. 이 세가지 노래가 어우러지면서 혼례는 독특한 민족색채와 이국적인 풍속을 보여주기도 한다. 혼례기간에는 경마, 양 빼앗기, 처녀 뒤쫓기 등 여러가지 오락종목들을 진행해 축하의 뜻을 전하기도 한다.

카자흐족의 장례는 이슬람교의 신직인원이 주재하며 관을 쓰지 않는다. 이들은 사망자의 몸을 깨끗이 닦은 후 흰천으로 감싸서 매장하며 규정에는 사망한 그날로 매장하도록 되어 있다. 그 가족들은 “애도가”를 부르며 사람들이 문상을 할 때면 곡을 한다. 영구가 떠날 때에는 사람들이 함께 “장송가”를 부르기도 한다. 예전에는 사망자가 생전에 탔던 말의 갈기와 꼬리를 자르며 이사를 할 때는 망자의 모자를 말잔등에 놓기도 한다. 1년후에는 그 말을 죽여 망자의 시신과 함께 순장을 하기도 했다. 후에 이 풍속은 변화하여 말의 머리와 네 발굽, 말가죽을 묘에 안장하였다. 망자가 남자일 경우 그 아내는 1년간 상복을 입고 매일 저 세상에 간 남편을 추모하여 만가 즉 애도가를 부른다.

음식에서차는중요한위치를차지한다.“하루동안음식을먹지못할지언정차가없어서는안된다”고할정도로반드시필요한음료이다.차를마시는방식을보면밀크티,수유차(酥油소·양의젖에서얻어낸유지방),밀크를넣지않는흑차등이있다.

카자흐족은 손님을 열정적으로 맞이하는 풍속이 있다. 그러나 손님으로 갔을 경우 여러가지 금기사항도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들의 집에 갔을 경우 신발을 벗거나 다리를 뻗어서는 안되며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가서도 안된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