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따이족의 문화와 예술

criPublished: 2019-05-05 14:56:37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민간문학:

따이족의문학발전은네단계로나뉜다.하나는고가(古歌),신화,창세서사시의산생과발전단계,두번째는영웅서사시와전설,가요의형성과번영단계,세번째는이야기와장편서사시의흥기와번영단계,네번째는신문학의발전단계이다.유명한'따이족고가요'에는원시사회따이족선민들의생산활동과생활상을보여준따이족고가30수가수록되어있다.따이족의영웅서사시로는'리봉'(厘俸)을들수있으며가요에는주로사랑가,세시풍속가,노동가,동요등이있다.따이족은또500여부정도의장편서사시가있다.지금까지전해져내려온따이족전통장편서사시는제재가광범위하고내용이풍부한바인류창세기활동을그린서사시가있는가하면조상들의창업업적을칭송하는서사시도있고역사사건을반영하거나통치계급의탐욕성과잔폭성을그린서사시도있다.이외새중국창건후사회주의사회에서의새로운생활상을그린신문학작품으로는'채색무지개'등을들수있다.

예술:

2천여년전부터중국서남부에정착한따이족은독특한풍격의민족음악을보유하고있다.따이족의음악은민간가요,가무음악,설창음악,희곡음악등4가지로나뉜다.민간가요에는산노래와서사가(敍事歌),비가(悲歌),종교가등이있다.산노래는보통청년들이논밭이나숲에서부르거나남녀대창의형식으로부른다.그내용으로는고향을찬미하거나사랑을표하고행복한생활을구가하는등등으로즉흥적으로지어부르는노래도있다.

따이족의가무음악에는공작가(孔雀歌),타고가(打鼓歌),십이마조(十二馬調),의납회(依拉恢),함찰(喊扎)등이있다.그중덕굉지역에서유행하는공작가는공작새춤의반주음악으로리듬이경쾌하고십이마조는청년남녀가집회에가는도중서로만나대가를부르는정경과1년12달의생산활동을서정적으로보여준다.의납회는군중성가무음악으로살수절용선경기꽃불놀이때많이연주되며그분위기가열렬하다.

따이족의설창음악은주로시솽반나와맹련(孟連)등지에서유행한다.따이족은설명절이거나,새집을짓거나결혼,출산,불교의식을거행할때면민간가수를청해흥을돋운다.이런예인들을시솽반나에서는‘찬합’(贊哈),맹련에서는‘와감’(窩甘)이라고부르며각지에서유행하는이런곡조를‘찬합조’,‘와감조’,‘맹련조’라고부른다.‘찬합’은따이족의가장대표적인민간예술형식으로따이족은“우리의생활에만일찬합이없다면음식에소금을넣지않은것처럼무맛”이라고비유한다.이런곡조는보통한사람이부르고한사람이반주하는형식이며리듬이유유하고가사가자유분방하다.

따이족의 희곡음악은 따이족의 민간가요와 가무음악을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한족 희곡예술의 표현수단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무용:

따이족은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이다. 따이족의 무용은 종류가 많고 형식이 다양하며 각자 나름의 특색이 있다. 따이족의 무용은 주로 자체오락 무용, 공연 무용, 제사 무용 등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자체오락무용에서‘알광’(嘎光)과‘상각고’(象脚鼓)무용이가장대표적이다.‘알광’은따이어로풀이하면‘알’은‘춘다’또는‘춤’이라는뜻이고‘광’은북또는‘모인다’는뜻이다.즉‘알광’이란북을에워싸고춤을춘다는뜻이라고하겠다.‘알광’은따이족의가장오래된무용으로약20여개현과시에서유행하며명절때면남녀노소,장소를불문하고모두즐겨추는자체오락성무용이다.상각고춤은자체오락성격과공연성격을겸비한남성무용이다.상각고라고이름한것은북모양이코끼리의다리를닮았기때문이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