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와족의 문화와 예술

criPublished: 2019-03-20 18:49:27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복장문화

와족의 복장은 그 거주지역에 따라 다르다. 서맹와족의 전통적인 남자복장은 목깃이 없는 짧은 상의에 바지는 짧고 통이 넓으며 검은 색 혹은 붉은 색의 두건을 두른다. 청년남자들은 목에 참대나 등나무로 된 목걸이를 장식품으로 건다. 여자는 검은 색의 짧은 상의에 통치마를 입으며 머리에는 은이나 참대로 된 테를 두른다. 은 혹은 나무로 된 목걸이를 걸고 은팔찌 여러개를 차거나 큰 귀걸이를 달기도 한다.

이름문화

그 특징은 거꾸로 이어지는 것이다. 예하면 “산비리—비리송”을 보면 이는 한 가정의 두 세대를 말한다. 그중에서 “산비리”는 “산”이 “비리”의 아들임을, “비리송”은 “비리”가 “송”의 아들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두 세대가 이어져 “산”과 “비리”라는 두 사람을 지칭하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 보면 아들과 아버지, 조부 3대의 항렬을 보아낼수 있다.

건축문화

와족마을은 산비탈 혹은 낮은 산마루에 자리잡고 있다. 집들은 산세에 따라 지으며 그 방향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와족건축의 특징을 보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한 마을의 규모는 큰 마을일 경우 백가구 이상, 작은 마을일 경우 십여가구에 달한다. 건축자재와 구조로는 주로 대나무구조와 토목구조 두 가지가 있다. 창원, 서맹, 맹련 등지의 와족인들은 대부분 대나무구조의 집을 짓는데 보통 이층으로 되어 있고 윗층에는 사람이 살고 아래층에는 가축을 기르거나 농기구 등 잡동사니를 넣어두기도 한다.

首页上一页12 2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