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와족의 문화와 예술

criPublished: 2019-03-20 18:49:27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역법

와족은 역사상 간단한 역법을 창제했다. 와족의 역법은 한해를 12개월로 나누며 첫 달은 일종의 자연현상을 표징으로 시작을 정한다. 이들은 매 달의 기후와 기타 조건에 근거해 생산과 종교 및 기타 활동을 배치하였다.

문학

와족의 문학은 민간구두문학에 속하며 그 내용에는 신화전설, 이야기, 동화, 우화, 속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학방식을 통해 와족의 심미관과 도덕관, 종교신앙, 풍속습관 등을 보여준다. 와족 거주지역에서 널리 알려진 “사강리”신화전설 역시 구두문학방식이다. “사강리”에는 하늘과 땅의 형성, 동식물의 탄생, 인류의 기원과 민족의 산생, 언어의 유래 등이 포함된다. “사강리”신화는 와족의 사회생산과 생활경험, 민족역사, 문학예술, 민족관계, 세시풍속 등을 일체화한 문학형식이며 와족의 전통문화를 집대성한 “백과전서”로 평가 받는다.

와족의 민간전설중에는 “창원암벽화의 전설”, “사낭꾼의 전설”, “신미절의 전설” 등 민족특징과 문화적내용을 담은 대표적인 작품들이 있다.

와족의 이야기에는 고아와 동물을 내용으로 한 이야기가 지역문화특징과 민족특색을 잘 담고 있다. 여기서 고아의 이야기는 사회기반이 넓은바 이는 와족의 특정사회와 역사단계의 산물이다. 그 대표작품으로는 “고아와 선녀” 등을 들수 있다. 동물이야기는 생활적 분위기와 강한 지역문화특징을 보여주는데 대표작품으로 “교만한 호랑이”, “황소와 물소 그리고 표범” 등이 있다.

와족의 속담은 이들의 생산과 생활경험을 총화한 것이다. 이런 속담은 생활에 대한 와족의 태도와 도덕품성 그리고 이들의 사회철학을 보여주어 강한 생명력과 감화력을 가진다. 예하면 “땅은 다루지 않으면 풀이 자라고 사람은 부지런하지 못하면 배를 곯는다.” “한그루 대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하고 한 사람이 하는 일은 성공하기 힘들다” 등이다.

회화와 조각예술

이들의 회화와 조각예술은 대부분 본 민족의 신화전설, 종교신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림은 큰 집의 나무판으로 된 벽에 인물과 동물의 형상을 그리는 방식이며 모두 간단하면서도 원시적이다. 조각은 큰 집의 지붕에 인물과 새 등을 그리며 귀신에게 제를 지내는 표징인 소뿔과 나무북에 인물과 소머리 등을 그리는 방식으로 역시 간단한 특징을 지닌다.

그외 창원암벽화 역시 와족의 창작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15곳의 절벽에서 천여개의 그림을 확인할수 있으며 그 안료는 붉은 철광분말과 동물의 피, 접착성이 있는 식물액체를 섞어서 만든 것이다. 창원암벽화는 구도가 간단하고 인물과 동물의 형태가 다양한데 이는 이 지역의 선민들의 수렵과 방목, 부락, 전쟁, 무용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음악

원시적이고 소박하며 귀맛 좋고 건전하며 질박한 음조와 호방한 풍격으로 자신만의 확연한 특징을 가진다. 노래는 모두 민가인데 그중에는 노동가, 사랑가, 종교가, 추도가, 경축가 등이 있다. 사용하는 악기로는 단적, 독현, 나무북, 상각고 등이 있다.

무용

제재가 다양하고 무용풍격이 소박하면서도 호방하고 열정적이다. 주요한 무용으로는 원형무, 목고무, 집짓기춤, 방아춤, 머리춤, 대나무춤 등이 있다. 그중에서 목고무와 머리춤은 와족문화의 깊이와 짙은 민족특징을 잘 보여줘 국내외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