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북벌군의 조선인 소대장은 왜서 실종되었을까

criPublished: 2016-03-11 14:30:12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1926년,중국에는대륙을돌풍처럼휩쓴전쟁이일어난다.광동의국민정부가국민혁명군을주력으로삼아진행한통일전쟁이었다.훗날이전쟁은일명'북벌(北伐)전쟁'으로사책의한페이지를기록한다.

북벌전쟁에는여타의전사(戰史)처럼많은비사(秘事)가깃들어있다.조선인군인이북벌군에대량등장한이야기가그중의하나이다.약80년의세월에깊숙이침몰된이사실(史實)은전정혁(全正革)의다소격동된어조에실려서다시꿈처럼깨어나고있었다.

"저의 부친님이 바로 북벌군에서 보병소대 소대장으로 있었다고 하는데요."

1월의 찬 기운은 두꺼운 벽을 뚫고 집안까지 들어오기에는 아직 미력한 듯 했다. 인터뷰 장소인 북경 서부의 모 커피숍에는 얼음을 녹일 듯한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었다.

전정혁은 북벌군에 참가했던 부친과 관련한 인터뷰 요청을 수락하고 요녕성의 무순에서 일부러 상경했다. 실제상 전정혁 자신도 현지에서 이름 있는 민간사학자였다. 그는 가족의 뿌리 찾기는 물론 역사발굴의 차원에서 부친의 족적을 지난 몇 십 년 동안 집요하게 추적해오고 있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전정혁부친의행적에는의문점이적지않게나타나고있었다.그래서기자는인터뷰직후남방모대학의교수최봉춘(崔鳳春)에게도움을요청했다.최봉춘은근․현대의관내조선인을전문연구하고있는사학자이다.

각설하고,전정혁의부친전병균(全秉均)은황포군관학교의제6기학생이었다고한다.전병균은6기생의신분으로북벌군에참가했다는것.황포군관학교졸업생은진정한의미에서는1기부터7기까지의학생을이르는말이다.

과연 중국 역사의 특필할 현장에 이처럼 조선인이 등장하고 있었던가. 그런데 더구나 기상천외할 비사들이 뒤미처 기억의 저쪽에서 유물처럼 무더기로 쏟아지고 있었다.

명부에서 실종된 소대장

황포군관학교는국민당의창시자손중산(孫中山)이1924년5월광동성광주시황포구의장흥도에세운정치군사학교이다.학교는국민혁명을위해군관을훈련하는데취지를두었으며이런군관은나중에국민정부가발동한북벌전쟁의주요한군사력으로되었다.

1926년, 황포군관학교 교장 장개석은 국민정부 산하의 군관학교와 국립대학에 조선인의 입학을 허락한다. 이때 교장판공실 비서 겸 교관으로 있던 손두환이라고 하는 조선인이 장개석과 직접 교섭하여 조선인의 황포군관학교 입학에 많이 이바지했다. 이러한 내용은 조선총독부 경무국을 비롯한 경찰서류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지금까지밝혀진문헌내용에따르면조선인들은일찍황포군관학교제3기부터입학하기시작했다.조선인학생은이때부터1949년의제22기까지황포군관학교에나타나고있다.그렇다고해서기마다다조선인이있은건아니라고최봉춘이지적했다.그는《황포군관학교동학록(同學彔)》의기록을인용,제3기5명,제4기32명,제5기6명,제6기1총대와2총대11명등도합14기의96명조선인졸업생이름이검색된다고소상하게설명했다.

그러나 자칭 6기생이라고 하는 전병균의 이름은 《황포군관학교 동학록》의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문헌기록에따르면황포군관학교제6기1총대(總隊)는1928년4월부터1929년5월까지남경중앙육군군관학교에서훈련을받았고2총대는1926년10월부터1929년2월까지광주황포군관학교에서훈련을받았다.잠깐,이가운데서제6기학생들의일부는북벌군을따라무한에간후1927년설립된황포군관학교무한분교제6기로재편성되었다.

최봉춘은 전병균의 자필이력서(1954)에 근거한 그의 추론을 이렇게 피력했다. "(시기적으로 볼 때) 전병균은 제6기(제2총대)에서 재학할 당시 소대장 자격으로 북벌전쟁에 투신하고 무한에 도착한 후 무한분교 제6기에 재편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전병균은 1927년 7월 중순까지 무한에서 훈련을 받다가 광주로 남하하여 연말의 광주기의에 참가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황포군관학교 동학록》에 등록되지 못했을 수 있다는 것. 더구나 동학록은 졸업 1년 후 조사하여 편제하는 게 관례였으며, 이런저런 원인으로 상기 명부에 수록되지 못한 학생은 적지 않았다.

12全文 2 下一页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