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어떤 마음으로는 나라를 망하게 할 수 있고 또 어떤 마음으로는 나라를 흥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공과 사 사이의 마음 씀의 차이에 있을 따름이다

criPublished: 2022-11-29 12:07:01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지도간부들은직책을맡는그날부터공과사의시련에직면하게된다.시진핑주석은“당성의강함과약함을가늠하는근본적인척도는공과사”라고보았다.공권력과공공자원을장악한지도간부들이공과사를분명하게하고공정하게권력을사용하는것은최저의정치적도덕과정치적지조이다.모든일에서공정심을가져야만정확한시비관(是非觀)과의리관(義理觀),권력관(勸力觀),사업관(事業觀)을가질수있다.

이에기반해시진핑주석은지도간부들에게더높은요구를제출했다.시주석은지도간부라면대공무사(大公無私)하고공과사가분명하며사적인것보다공적인것을먼저생각하고공적인것을위해사적인것을잊어야만당당한인격을가지고신중하게권력을행사하며공명정대함을실천할수있다고강조했다.

중국 공산당의 집권은 역사와 인민의 선택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역사와 인민은 왜 중국 공산당을 선택했을까? 그것은 100여년의 비바람 속에서 중국 공산당이 추구한 것은 당의 사적인 이익과 당원 간부들의 특수한 이익이 아니라 “대중의 공공이익을 자신의 개인 이익 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는 아주 소박한 진리이다. 새로운 역사 조건에서 수중에 권력을 장악한 지도간부들은 더욱 시시각각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 개인의 이익과 소그룹의 이익만 추구한다면 대중에 대한 당의 약속을 어떻게 지키고 중들의 지지를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지 항상 반성하고 시시로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首页上一页12 2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