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 저무는 황혼 인생이라 말하지 마오 붉은 노을 되어 하늘 가득 물들였으니

criPublished: 2022-10-18 08:17:19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막도상유만, 위하상만천”

“莫道桑楡晩,爲霞尙滿天”

인용:

“‘저무는황혼인생이라말하지마오(莫道桑楡晩)붉은노을되어하늘가득물들였으니(爲霞尙滿天)’라는시가있습니다.여러분들이영광스러운역사를소중하게여기고정치적본색을영원히지키면서솔선수범해당의영광스러운전통과좋은기풍을계속선양하고‘두개의백년’분투목표달성과중화민족의위대한부흥을위한중국몽의실현을위해계속적극적으로기여하기를희망합니다.”

-2015년 1월 26일 시진핑 주석의 전국 이직 정년 퇴직 간부 대표 회견 시 연설에서

출처:

누군들늙는것을꺼리지않고

늙으면누가불쌍하게여겨주랴

몸은야위어허리띠줄어들고

머리숱적어져갓은절로삐딱하네

책읽기그만둔건눈이시원치않아서요

자주뜸을뜨는건병치레잦기때문이라오

인생경험풍부하니사리에능통하고

산천을훤히알듯사람을꿰뚫어본다오

가만히생각하니모든것이다행스러워

금세걱정이사라지고유유자적하노라

저무는황혼인생이라말하지마오

붉은노을되어하늘가득물들였으니

-유우석

해석:

는당(唐,618~907년)나라때의시인인유우석(劉禹錫,772~842년)이절친인백거이(白居易,772~846년)의시에답하는시이다.두사람은모두‘영노(咏老)’,즉노년을읊었으나삶에대한서로다른자세를보여주고있다.

유우석과백거이는모두중당(中唐)시기의772년에태어나시를통해절친이되었으며함께을펴내기도했다.836년가을64살의유우석은태자빈객(賓客)의신분으로낙양(洛陽)에이르렀는데그때백거이도마침낙양에있었다.

백거이가먼저,즉‘늙음을읊어몽득에게주다’라는시를써서유우석에게보냈다.몽득은유우석의자(字)이다.백거이는시에서노인의생리와심리특징을자세하게묘사하면서비관적인정서를생동하게구현했다.“그대도나도이제모두늙었노라(與君均老矣)스스로묻노니,늙으니어떠한가?(自問老如何)눈은뻑뻑해서밤이면먼저눕고(眼澁夜先臥)머리손질게을러서아침에도빚지않네(頭慵朝未梳)때로지팡이짚고나가기도하나(有時扶杖出)종일토록문닫고처박혀(盡日廢門居)새로닦은거울보지도않고(懶照新磨鏡)깨알같은글자는볼생각도않노라(休看小字書).옛친구향한정은소중해지고(情於故人重)젊은사람들과는소원해지네(跡共少年疏).오로지도란도란이야기하고싶은맘은(唯是閑談興)그대만나면넘쳐나리라(相逢尙有餘)”.

백거이의비관적이고울적한기분과달리백거이의시에답한유우석의시는밝고긍정적인정신을보여준다.특히천고의명구로오늘날까지전해지는‘막도상유만(莫道桑楡晩),위하상만천(爲霞尙滿天)’,즉‘저무는황혼인생이라말하지마오.붉은노을되어하늘가득물들였으니’는시인의활달한낙관과적극적이고진취적인삶의자세를잘보여준다.

시진핑주석은따스하고아름다운경관을묘사한,많은사람들이잘아는유우석의시를빌어원로들에대한깊은관심과간절한기대를밝혔다.노간부들의몸에는흘러간시간이남아있고그들은흘러가는역사를기록하고있으며그들의몸에는소중한경험이쌓여있다.바로그들이손발이닳도록열심히일했기에‘중국호’라는거대한선박이어제의비바람을헤치고오늘의항로를달려내일의수역으로나아가고있는것이다.오늘날그들의머리에흰서리가내렸지만“늙은천리마마구간에엎드려있어도(老驥伏櫪)그뜻은천리를달리며(志在千里)열사는늙었어도(烈士暮年)장한포부는그대로있다(壯心不已)”.

노 간부들은 그들 고유의 정치적 우위와 경험적 우위, 명망의 우위를 빌어 여전히 역할을 하면서 청년들에게 경험을 전수하고 청년들을 도우며 청년들을 이끌어 준다. 그들은 또 좋은 전통과 고상한 품격, 소중한 경험과 적극적인 정신을 청년들에게 전수하면서 ‘두 개의 백 년’ 분투목표의 실현을 위해 계속 기여한다.

바로 이 때문에 시 주석은 몸은 퇴직했지만 정신은 퇴직하지 말며, 얼굴은 늙었지만 뜻은 늙지 말라고 이직 간부와 정년 퇴직 간부들을 격려하면서 노 간부들은 여전히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며 중국몽을 실현하는 길을 밝게 비출 수 있다고 말했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