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 초목이 뻗어 자라 봄날 산중 경치가 더욱 볼만해질 것이다

criPublished: 2022-09-20 08:55:49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초목만발, 춘산가망”

“草木蔓發,春山可望”

인용:

“‘초목이뻗어자라(草木蔓發)봄날산중경치가더욱볼만해질것이다(春山可望)’라는시처럼1년에한번씩있는새봄의명절이곧다가옵니다.오늘우리가이곳에모여새봄을맞이하게되어유난히기쁩니다.먼저나는당중앙과국무원을대표하여여러분들에게명절의아름다운축복을전하며전국의여러민족인민들과홍콩특별행정구동포들,마카오특별행정구동포들,타이와동포들,그리고해외교포들에게새해인사를드립니다.여러분닭의해행운과만사형통을기원합니다!”

-2017년 1월 26일 시진핑 주석의 2017년 춘절 하례회 연설에서

출처:

봄이되면(當待春中)초목이뻗어자라(草木蔓發)봄날산중경치가더욱볼만해질것인데(春山可望)날렵한피라미들이수면위로뛰어오르고(經鰷出水)새하얀갈매기들이두날개를활짝펼쳐날고(白鷗矯翼)새벽에내리는이슬은푸른풀을적시고(露濕靑皋)보리밭속에서는새벽부터꿩들이울어댈테니(麥隴朝雊)이제곧그때가되면(斯之不遠)자네도나와함께놀러갈수있지아니한가(倘能從我遊乎)?

-왕유(王維)편

해석:

744년,당(唐,618~907년)의시인이자화가인왕유(王維,약693~761년)는망천(輞川,오늘날의산시(陝西)란톈난(藍田南))의별채에머물다가갑자가외로움을느껴이듬해봄산중에와서함께놀자고벗인배적(裵迪)에게편지를썼다.이편지가바로,즉는제목의시이다.

편지에서왕유는겨울과봄에망천별채의경치가서로다름을묘사했다.왕유는봄의경치를“당대춘중(當待春中)초목만발(草木蔓發)춘산가망(春山可望)”이라고묘사했다.즉봄이되면초목이성장해서산중의경치가볼만할것이라는의미이다.이구절은봄의경치를개괄적으로묘사한동시에이어질다음구절을위해복선을깔아주었다.이어왕유는날렵한피라미들이수면위로뛰어오르는“경조출수(經鰷出水)”와새하얀갈매기들이두날개를활짝펴고나는“백구교익(白鷗矯翼)”,새벽에내리는이슬이푸른풀을적시는“노습청고(露濕靑皋)”보리밭속에서새벽부터꿩들이울어대는“맥롱조구(麥隴朝雊)”라는봄날산중에서가장대표적인경관을선택해망천의봄날경치를종이위에옮겨썼다.

왕유의편지에는처음부터마지막까지정이흘러넘친다.아름다운경치에서그윽한정이생겨나고정과경치가하나로어울리며사람들에게무한한상상의나래를달아준다.북송(北宋,960~1127년)의문학자소동파(蘇東坡,1037~1101년)는“마힐의시를음미하면(味摩詰之詩)시속에그림이있고(詩中有畵),마힐의그림을보면(觀摩詰之畵)그림속에시가있다(畵中有詩).시에이르기를(詩曰)‘남계에물이줄어하얀돌드러나고(藍溪白石出),하늘도차가우니붉은단풍잎드물구나(玉山紅葉稀).산길엔비가내린적도없는데(山路元無雨)숲속푸른빛에입은옷젖어드네(空翠濕人衣)’이시는마힐이지은시인데(此摩詰之詩也)아니라고하는이들도있다(或曰非也).마힐의시를좋아하는사람들은이시를마힐이남긴시의하나라고말한다(好事者以補摩詰之遺)”고왕유의시를평가했다.여기서마힐은왕유의자(字)이다.

시진핑주석은춘절하례회에서“초목만발(草木蔓發)춘산가망(春山可望)”이라는이고전을인용해만물이소생하는새봄의생기발랄한경관과번영,흥성하는새시대의기상을묘사했다.

“초목만발(草木蔓發)춘산가망(春山可望)”은생기로넘치는그림을펼쳐준다.초목이끊임없이뻗어자라고가지마다모두뻗어자라는이경관은나라를세우고잘사는데로부터강해지기까지의위대한도약을실현하고민족부흥을위한발걸음이더욱힘있어진오늘날의중국과흡사하다.넓은중국의이땅에몸을둔사람들은모두봄날의이기운을만끽한다.

“초목만발(草木蔓發)춘산가망(春山可望)”은또한희망으로가득한그림이기도하다.햇빛을받으며자라는초목에서봄빛으로가득한온산의푸름은새로운청사진을그리고새로운여정을시작한미래의중국과흡사하다.2020년에전면적인소강사회를건설한중국이2035년사회주의현대화를기본실현하고2050년사회주의현대화강국을건설하는등목표는등대처럼파도를헤치고전진하는중국의앞길을비춘다.영원히지치지않는정신적상태와용감하게전진하는분투의자세를유지하면우리는기필코대를이은분투속에서더아름다운미래를창조할것이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