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 무릇 도는 잡념을 멀리 해야 한다 그러면 스스로두 구하지 못하게 된다

criPublished: 2022-03-15 09:36:38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부도불욕잡, 잡즉다, 다즉요, 요즉우, 우이불구”

“夫道不欲雜,雜則多,多則扰,扰則憂,憂而不救”

인용:

“우리나라의철학사회과학이마르크스주의지도를받는것은근대이래중국의발전여정이부여한법칙성과필연성입니다.우리나라에서마르크스주의지도를받지않는철학사회과학은영혼과방향을잃게되고궁극적으로응분의역할을하지못하게될것입니다.바로‘무릇도는잡념을멀리해야하는법(夫道不欲雜).잡념이있으면일이많아지고(雜則多)일이많으면혼란해지며(多則扰)혼란하면근심이생기고(扰則憂)근심이생기면스스로도구하지못하게됩니다(憂而不救).’”

-2016년 5월 17일 시진핑 주석의 철학과학사회업무 간담회 연설에서

출처:

안회가중니를만나(顔回見仲尼)여행을떠나겠다고청했다(請行).이에중니가묻기를(曰),“어디로가려는가(奚之)”?안회가대답했다(曰).“위나라로떠나려합니다(將之衛)”…중니가말했다(仲尼曰).“어허(嘻)!무릇도는잡념을멀리해야한다(夫道不欲雜).잡념이있으면일이많아지고(雜則多)일이많으면혼란해지며(多則扰)혼란하면근심이생기고(扰則憂)근심이생기면스스로도구하지못하게된다(憂而不救).옛날의지인은(古之至人)먼저자신이도를갖춘연후에다른사람들에게나아갔느니라(先存諸己而後存諸人).자네자신도아직본래면목을회복하지못했으면서(所存於己者未定)난폭한사람의행동을어느겨를에막겠는가(何睱至於暴人之所行)?”…

-장자(莊子)편

해석:

장자(莊子,약기원전369년~약기원전286년)의처세철학을천명한의인간세(人間世)는인간세상을말한다.

는도합7개장으로구성되어있다.제1장에서장자는공자(孔子,약기원전551년~기원전479년)와그의제자안회(顔回,기원전521년~기원전481년)두사람의대화를허구로만들어‘도불욕잡(道不欲雜)’의견해를천명했다.

장자가지어낸이대화는안회가스승인공자에게위나라를구하러가겠다고하는데부터시작된다.안회가위나라를구할소망을표시한후공자는“부도불욕잡(夫道不欲雜),잡즉다(雜則多),다즉요(多則扰),요즉우(扰則憂),우이불구(憂而不救)”라고말한다.즉잡념이있으면일이많아지고일이많으면혼란해지며혼란하면근심이생기고근심이생기면스스로도구하지못하게되기때문에도는잡념을멀리해야한다는것이다.

장자는 이로부터 인생의 도는 일관해야 하며 잡념이 많아지면 마음이 혼란해져 중임을 떠멜 수 없고 궁극적으로 아무 일도 이룰 수 없다고 경고한다.

철학사회과학분야는 마르크스주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시대가 어떻게 변화하고 과학이 어떻게 진보하든 마르크스주의는 여전히 과학사상의 위력을 보여주고 여전히 진리와 도의의 주도권을 장악한다. 2015년 12월의 전국 당교업무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지도간부들이 이론학습에서 주목해야 할 13가지 문제를 언급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마르크수주의의 진리성을 어떻게 보는가”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철학과학사회업무 간담회에서 시 주석은 마르크스주의는 자연계와 인간사회, 인간 사유 발전의 보편적인 법칙을 밝히고,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인류의 아름다운 소망을 반영한 “위대한 인식의 도구”이며 더욱이 뚜렷한 “실천적 품격”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마르크스주의는 “진리를 끝낸 것이 아니라 진리로 향하는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중국의철학사회과학이마르크스주의지도를받는것은근대이래중국의발전여정이부여한법칙성과필연성이다.철학사회과학분야에서마르크스주의는바로근본적인‘도(道)’인것이다.시진핑주석은장자의이말을인용해중국에서마르크스주의지도를받지않으면철학사회과학은영혼과방향을잃게되며궁극적으로아무런역할도발휘하지못하게된다고지적했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