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 선비는 마음이 넓고 의지가 굳건하고 인내하지 않을 수 없으면 안 된다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기 때문이다

criPublished: 2022-01-18 10:31:07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사불가이불홍의, 임중이도원”

“士不可以不弘毅,任重而道遠”

인용:

“‘선비는마음이넓고의지가굳건하고인내하지않을수없으면안된다(士不可以不弘毅)책임은무겁고갈길은멀기때문이다(任重而道遠)’라는말이있습니다.나라의전도와민족의운명,인민의행복은오늘날중국청년들이반드시짊어져야할무거운책임이자반드시짊어질무거운책임입니다.한세대청년들은그세대청년들의역사적기회에직면해있습니다.우리나라는번영과부강에로나아가고,우리민족은위대한부흥에로나아가며,우리인민은더행복하고아름다운생활을향해나아가고있습니다.오늘날중국청년들이소임을다하려면반드시인민을위한위대한사업에몸을던져야합니다.인민과함께분투해야만청춘이더욱빛을뿌리고,인민과함께전진해야만청춘의투지가더욱드높고,인민과함께꿈을향해야만청춘은후회가없게됩니다.”

-2015년 7월 24일 시진핑 주석의 전국청년연합회 제12기 전국위원회와 전국학생연합회 제26차 대표대회에 보낸 축하편지에서

출처:

증자가말했다(曾曰).“선비는마음이넓고의지가굳건하고인내하지않을수없으면안된다(士不可以不弘毅)책임은무겁고갈길은멀기때문이다(任重而道遠).이한몸으로인을실현하니(仁以爲己任)책임또한무겁지아니한가(不亦重乎)?죽을때까지인을실현하니(死以后己)갈길또한멀지아니한가(不亦遠乎)?”

-편

해석:

“사불가이불홍의(士不可以不弘毅),임중이도원(任重而道遠)”은에서증자(曾子,기원전505년~기원전435년)가한말이다.공자(孔子,약기원전551년~기원전479년)의제자인증자는후세사람들에게서‘종성(宗聖)’이라불린다.증자는짊어진책임이무겁고갈길이멀기때문에선비는마음이넓고의지가굳건해야한다고말한다.유가(儒家)의학설을집대성한남송(南宋,1127년~1279년)의이학(理學)대가주희(朱熹,1130년~1200년)는에서“홍은넓고너그러운것이고(弘,寬廣也)의는강인한것이다(毅,强忍也).너그럽지아니하면중임을감당하지못하고(非弘不能勝其重),굳세지아니하면멀리도달할수없다(非毅舞以致其遠)”고해석했다.

증자는‘임중이도원(任重而道遠)’에대해“인이위기임(仁以爲己任),불역중호(不亦重乎)?사이후기(死以后己),불역원호(不亦遠乎)?”라고해석했다.다시말하면이한몸으로인을실현하니책임또한무겁고죽을때까지인을실현하니갈길또한멀다는것이다.

인을실현하기위해공자는“끼니를잊을정도로열중하고(發憤忘食)근심을잊을정도로즐거워하고(樂以忘憂),나이가들어늙는것을알지못한다(不知老之將止)”고말했다.맹자(孟子,약기원전372년~약기원전304년)는“선비는어려운상황에서도의를잃지않고(士窮不失義)뜻을이루어도의를벗어나지않는다(達不離道)”,“세상에도가있으면(天下有道)도를지키는일에몸을바치고(以道殉身)세상에도가없으면(天下無道)몸을바쳐도를따라죽는다(以身殉道)”고말했다.그들은세상의흥망을자신의책임으로보고인(仁)을실현하는것을인생의중요한사명으로여겼다.

강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는 것은 역사적으로 뜻있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보여주는 우수한 품성이다. 나라의 기둥과 민족의 희망으로 간주되는 청년들은 나라와 민족의 전도와 운명을 짊어졌다. 나라의 발전과 개인의 선택은 청년들이 반드시 심사숙고하고 뚜렷하게 답을 해야 하는 명제이다.

시진핑 주석은 전국 청년연합회에 보낸 축하편지에서 청년들이 학문을 닦고 나라에 보답하기를 기대했으며 꿈과 사명감을 가진 청년들의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지만 스스로의 정확한 이상을 따라 자발적으로 시대와 인민들이 부여한 책임을 짊어지라고 청년들을 격려했다.

청년들은 시대가 부여한 사명을 직시하고 넓고 광활한 앞길을 멀리 바라보는 동시에 현실에 입각해 어려움을 헤쳐 나가며 분투해야 한다. 세월의 시련을 겪고 실천의 세례를 받아야만 청년들은 미래를 감당하는 중견역량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