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몬바족의 역사

criPublished: 2021-03-15 09:47:50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1844년에 영국군이 몬바족 두령 6명을 제압하고 먼위의 지러바러지역을 강제로 조차했다. 이는 가이리바라 산구 이남에 대한 몬바족의 관할권을 빼앗는 행위로 몬바족의 저항을 일으키는 불씨가 되었다. 1872년 겨울 영국군 대표가 불합리한 영토 요구를 제기하자 몬바족 두령이 이를 단호히 거부했는데 이는 몬바족인들의 강한 애국정신의 발로였다.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영국정부의 대표가 먼위지역을 포함한 9만평방킬로미터의 영토를 영국에 귀속시키려 했다. 이는 중국정부와 티베트의 티베트족, 몬바족 등 여러 민족의 견결한 반대에 부딪쳤고 중국 중앙정부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영국 식민주의자들은 책략을 바꾸어 고찰, 탐험 등 명의로 이 지역에 침투했고 티베트족과 몬바족을 이간시켜 세력범위 확장의 목적을 이루려 했다.

1938년 영국은 원정군을 파견해 4월에 이 지역에 이르렀으나 몬바족의 격렬한 저항을 받아 철수했다. 1944년 초에 영국군이 또 다시 먼위지역을 무력으로 진공했고 이 때도 현지정부와 몬바족인들의 강한 저항을 받았다.

1947년후영국정부로부터독립한인도정부가티베트에대한영국정부의영토강점을승계한다는이유로몬바족지역을차지하기위한행동을취했다.1947년먼위써라산(色拉山)이남지역을통제한인도군은써라산이북의몬바족사람들이티베트지방정부에세금을납부해서는안되다는명령을내렸고이는이지역주민들의강한반대를받게되었다.1951년2월7일인도군이먼위의중심지역인다왕(達旺)을강점하자이곳의군중들이자발적으로집회를가지고인도군의철군을요구했다.이상사실들에서우리는몬바족인들이식민주의확장과외국침략자들에대해올곧은기개를보여주었음을알수있다.이들은국가주권과영토완정을수호하고조국의남쪽국경을지키는데서큰기여를했다.

1951년 티베트가 평화적으로 해방되었고 1959년에 티베트는 민주개혁을 단행해 봉건농노제도를 철저히 혁파했다. 이로써 몬바족인들은 사회발전의 역사적인 비약을 실현하고 새로운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1959년 7월에 모퉈현인민정부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춰나현은 러부구를 내오고 마마향, 지바향, 궁르향, 러향 이 네개 향을 설치했다.

首页上一页12 2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