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앙족의 문화와 예술
종교신앙:
더앙족은전민족이불교를신봉한다.덕굉주와임창시에사는더앙족은엄격한산지소승불교(山地小乘佛敎)교파에속하며모든생명체에대한살해나상해를금지한다.이는현지따이족이신봉하는가축에대한살생을허용하는소승불교교파와구별된다.더앙족은천당을숭배하고지옥을증오한다.이들은좋은사람은죽은후천당에가고다시사람으로환생하지만나쁜사람은죽은지옥에떨어져영원히고통받는다고여긴다.이런신앙때문에더앙족이사는곳은사회가안정되고민족이화목하며근면하고근검하게살아가는좋은분위기를형성하고있다.
독실한 불교신도들인 더앙족은 마을에서 제일 좋은 건물에 불상을 모신다. 많은 마을은 불교사원과 생불 그리고 동자승이 있다. 생불은 모두 따이족문자를 알고 있어 따이문으로 된 경서를 읽을수 있다. 이들의 생활은 종교명절 때 받는 보시를 제외하고는 평시에 마을사람들이 윤번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여러 곳에 사는 더앙족은 부동한 교파를 믿는데 일부 교파는 돼지나 닭을 기르고 가축을 죽일수 있으나 일부 교파는 이런 행위를 엄격히 금지한다. 심지어 야수가 밭의 곡식을 절단내도 이를 죽여서는 안되며 종교명절이나 금기날자에는 생산활동에 종사하지 않는다.
건축:
더앙족의건축물은대나무집인죽루(竹樓)로유명하다.장시기동안죽루는더앙족의공통적인주거형식이었다.진강(鎭康)지역에서는몇개의소가정이한집에기거하는데집가운데는넓은통로가있고그양쪽에여러가정의집들이벽을사이두고있으나집집마다화덕이있다.이런죽루는통상부지면적이4백평방미터로큰규모를자랑한다.그러나지금에와서는집집마다작은죽루를지어서사는경우가많다.이들의죽루는정방형과장방형두가지가있으며서로대칭되고조화를이루며구도가엄격해미학적특징을잘보여준다.
복식문화:
더앙족의 복장은 민족특징과 함께 본 민족 특유의 심미관과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를 잘 보여준다. 남자들은 남색이나 검은 색 웃옷에 짧고 통이 넓은 바지를 입으며 머리에는 검은색이나 흰색의 두건을 쓴다. 여자들은 짙은 남색이나 검은 색 상의와 긴 치마를 입고 머리는 검은 천으로 감싼다. 청년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은목걸이, 귀걸이 등을 즐겨 착용한다.
이들의 복식에서 가장 주목 받는 것은 여자들이 성년이 된후 허리에 차는 요고라고 부르는 장식품이다. 성년 여자는 이런 요고를 몇개 지어는 수십개씩 허리에 찬다. 요고는 넝쿨이나 참대오리 등을 둥근 테모양으로 만들며 앞부분은 식물로 뒷부분은 은띠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복식의 또 다른 특징은 색실방울이다. 남자들이 쓰는 두건의 양쪽이나 가슴에 그리고 여자들은 옷 끝자락 혹은 목걸이에 이런 색실방울을 단다.
문학:
더앙족문학은구두민간문학이위주이며전통적인민가,신화,전설,이야기가큰비중을차지한다.민가에는사랑노래가많으며청춘남녀들은사귀거나연애를할때대부분노래로마음을전한다.이런사랑노래는단편이고즉흥적으로짓는경우가있는가하면슬픈노래도있는데그중“노생애가(蘆笙哀歌)”가대표적이다.서사적인긴노래로는민족의이동을반영한“역사조”,품팔이생활을묘사한“하버마조”등이있다.
더앙족의 신화 대표작으로는 “사람을 키운 조롱박”, “천왕지도” 등이 대표적이다. 민간이야기중에서 “개구리와 수놓이처녀”가 대표적인데 이는 일반 백성들의 선량함과 순박한 품성을 잘 보여준다.
더앙족의 기원에 대한 재미있는 신화전설을 살펴본다.
옛날 더앙족은 조롱박에서 나왔는데 그때 남자들은 신장이 다 같고 얼굴생김도 같아 아무런 구별이 없었다. 여자들은 조롱박에서 나오자마자 이리저리로 날아다녔다. 후에 한 신선이 남자들의 생김새를 서로 다르게 만들었고 남자들에게 허리테를 여자들 몸에 감아 놓으면 날수 없다고 알려주었다. 이때부터 남자와 여자는 짝을 지을수 있었고 진정한 인류의 생활도 시작되었다고 한다.
다른 한 전설에 보면 옛날에 이 땅에는 높은 산이 있었고 산에는 동굴이 있었으며 그 동굴에는 용녀가 살고 있었다. 이 용녀는 삼년에 한번씩 미인으로 변해 동굴밖을 나와 볕을 쪼이는 습관이 있었다. 신선의 후예가 이 비밀을 알게 되었고 용녀가 볕쪼임을 하는 기회에 그녀와 환담을 나누었고 시간을 어긴 용녀가 동굴도 돌아갈수 없게 되어 결국 두 사람은 부부의 연을 맺게 되고 더앙족의 선민들이 태어났다는 내용이다.
차문화:
찻잎을 따는 계절은 대다수 더앙족 청춘남녀들이 마음에 드는 배필을 찾는 좋은 때이기도 하다. 이들은 서로 약속을 한 후 여러명이 함께 산에 가서 찻잎을 따면서 산노래를 주고 받는다. 이렇게 찻잎을 따면서 서로를 알아가고 노래대창으로 소통을 늘려간다. 그러다가 마음에 드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과 주로 노래를 주고 받으며 서로 마음에 들면 며칠후 여자집에 “중매차” 한봉지를 보낸다. 만약 여자측에서 흔쾌히 받으면 계속 사귈 의향이 있는 것이고 받지 않으면 거부의사를 보이는 것이다.
무용:
더앙족은본민족특징이다분한음악과무용이있다.무용을보면북춤,죽간무,알양무,도파무등이있다.그중북춤은장고무,대고무,수고무,불고무등으로나뉜다.죽간무는장례식에서추는춤으로통상칠순이상의덕망높은노인이사망했을경우에춘다.이무용은여러사람들이빈소를지키는3일사이에추게되며매일아침,점심,저녁세번춘다.이는망자의생전공덕을기리는의미도있고또망자가황천길에서“말”을타고서천에가기를바라는의미도있다.알양무는원래더앙족의방계로알려진“양인(養人)”들이전해내려온무용이다.주로는농천현(陇川縣)의호농촌(戶弄村),서려시(瑞麗市)의맹휴(勐休)등지역에서춘다.
이런 민간무용들은 진실하고 형상적이면서도 생동하게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을 반영했으며 더앙족의 풍격을 보여주고 이들의 심리적특징과 심미관을 보여주는 소중한 역사예술자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