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부랑족의 역사

criPublished: 2019-11-22 18:34:11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부랑족은 오랜 역사를 가진 소수민족이며 부랑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남아시아어계 부랑어갈래에 속하며 부랑과 아와 두개 방언구역으로 나뉜다. 부랑족은 본 민족의 문자가 없다.

부랑족은 구두문화가 풍부한 민족으로 뚜렷한 특징을 가진 민족언어, 복장, 노래와 춤, 풍속습관을 보유하고 있다.

부랑족은주로운남성(雲南省)시쐉반나서남부의국경지역에살고있다.2010년의제6차전국인구보편조사로볼때총인구가11만9천명정도였다.

시쐉반나에살고있는부랑족은“부랑”혹은“파랑(巴朗)”이라고자칭하고임창시(臨滄市)와보안시(保安市)에서는“우(烏)”라자칭하며묵강(墨江),쌍강(雙江),운현(云縣),경마(耿馬)등지에서는“아와(阿瓦)”혹은“와(瓦)”로,사모(思矛)에서는“본족(本族)”,난창현(澜沧縣)문동향(文東鄕)에서는“웡훙(翁拱)”,진강(鎭江),경동(景東)에서는“우(烏)”혹은“우인(烏人)”이라자칭한다.

예전에다른민족이부랑족에대한호칭도달랐다.쌍강따이족은부랑족을“라(臘)”라불렀고라후족은“카파”,“카푸”로,시쐉반나의타이족은부랑족을“먼(悶)”으로,하니족은“아버(阿博)”혹은아베(阿別)로부랑족을호칭했다.현지의한족과이족은“푸만(蒲滿)”혹은“푸만(濮曼)”등으로부랑족을호칭했다.중화인민공화국이창건된후부랑족의염원에따라민족명칭을“부랑족”으로통일했다.

부랑족역사연구학계는부랑족이고대의백복(百濮)민족군에서기원했다고인정하는학자가많다.중국의고서들은오래전부터백복에대한기록이나타난다.《상서.목서》라는책에서는주무왕이서남의여러부족을토벌했는데그중에복인(濮人)이있다고기록했다.사학계는《화양국지(華陽國志)》”의기록에근거해“애로(哀牢)”와복인이밀접한연관성이있으며영창일대가고대복인들의거주지였다고인정한다.“복인”은그부족이많고분포지역이넓었으며오래전부터난창강과누강유역의여러곳들에서살았고그중의한갈래가현재부랑족의선민이었을가능성이크다고여겨진다.

서한(西漢)왕조때는운남에익주군(益州郡)을세웠고그산하에준당(嶲唐),불위(不韋)등현을세웠는데현재의보산시에속한다.자연스럽게복인거주지역들도서한왕조의군현범위에들어갔다.서진때는영창복인의일부분이남쪽으로이주해진강(鎭康),봉경(鳳慶),임창일대에정착했다.당나라,송나라때는남조(南詔)와대리(大理)정권의통치하에있었고주로는채집과수렵에종사하는경제생활형태였다.그후농업생산으로과도했다.원나라초반에운남성서부의“푸인(蒲人)”들은이미철제호미를사용했고그두령은해마다일정량의호미를원나라정부에진상품으로바쳤다.명나라때는순녕부를설치하면서푸인중의귀족을현지지부로임명했다.장기간의민족이동과부락,부족의분화와융합을거듭하면서난창강과누강중하류일대에살고있던복인의한갈래가오늘의부랑족으로발전해왔다.

부랑족은저항정신이투철한민족으로역대봉건통치자들을반대해기타민족과함께많은봉기를일으켰다.그중에서청나라함풍11년(기원1861년)에있은묵강하니족과부랑족등의봉기는최대규모를자랑했다.하니족인전사랑(田四浪)이봉기두령을맡았고참가자는수천명에달했으며진원,묵강의대부분지역을장악하면서7,8년간싸웠다.

민국시기에도부랑족들의저항은계속되었다.1940년을전후해시쐉반나서정(西定)의부랑족들이국민당군대의잔혹한통치에항거해봉기의깃발을들었고라후족과하니족인들의지원을받으면서국민당정부가파견한진압군을물리쳤다.부랑족은또따이족토사와본민족집권자들의통치에지속적으로반항했다.1943년에서정만와채의부랑족들은두령의식량징수를반대한투쟁을벌였고결국은18명두령의반동통치를전부뒤집어엎었다.

19세기중엽이후,부랑족인민들은여러민족과함께영국,프랑스제국주의침략을반대해운남에서애국투쟁을전개했다.항일전쟁때부랑산과시쐉반나서정의부랑족들이다른여러민족과함께일본과시암(暹羅)군대에공동으로항거해조국변강을지키는공을세웠다.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전에 부랑족의 사회발전은 매우 불균형하였고 대체로 두 유형으로 나눌수 있었다. 그 하나는 임창지역과 사모지역에 거주하는 부랑족을 대표로 한다. 이들은 장기간 한족 등 기타 발전이 빠른 민족과 섞여 살면서 경제, 문화면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고 사회경제발전이 비교적 빠른 편이었으며 보갑제도가 실행되었다. 이런 지역들에는 지주경제가 이미 확립된 상태였다.

다른 한가지 유형은 시쐉반나의 부랑산, 서정, 파다 일대에 집거한 부랑족을 대표로 한다. 이들은 오래전부터 따이족 봉건영주의 통치를 받았으며 부랑족인들은 해마다 이들 영주에게 일정한 수량의 화폐 혹은 실물을 공물로 바쳐야 했다. 이런 통치는 부랑족사회가 가족단계에서 계급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깊은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50년대 초 부랑산구의 인민정권이 설립된 후 상급정부는 현지 실정을 감안하여 직접 사회주의단계로 과도하는 정책을 실행했다.

1985년 12월 30일 운남성은 여러 소수민족이 집거한 지역에 연합으로 된 자치지방인 쌍강라후족와족부랑족따이족자치현을 설립했고 부랑족은 자치현의 자치민족으로 되었다. 그외에도 부랑족이 상대적으로 집중된 멍해현 파다, 멍만과 멍강, 임창지역의 운현, 경마와 보산지역의 시전 등지에 기타 민족과 연합으로 된 민족향을 세웠다. 이들은 본 민족과 본 지역의 사무를 자주적으로 관리할 뿐만 아니라 국가사무와 소재지역 각 급 지방사무의 관리에도 평등하게 참여한다. 이들은 또 본 민족의 대표를 선거해 전국인민대표대회, 운남성인민대표대회와 각급 인민대표대회에 참가한다. 이와 함께 당과 정부는 부랑족 간부 양성에 알심을 들여 민족구역자치제도에 든든한 보장역할을 했다.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