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샹족의 역사
둥샹족(東鄕族)은중국감숙성(甘肅省)의소수민족이며그민족언어는알타이어계몽골어족에속하고본민족의문자가없다.대다수둥샹족은한어에도능통하며한문은둥샹족의통용문자이다.이들은이슬람교의수니파를신봉한다.
둥샹족은주로감숙성임하회족자치주(臨河回族自治州)경내의도하(洮河)서부,대하하(大夏河)이동과황하(黃河)이남의산간지대에-살고있다.그외화정현(和政縣),임하현(臨河縣),적석산(積石山)보안족둥샹족쌀라족자치현에분산되어살고있으며감숙의란주시(蘭州市),정서(定西)지역,감남(甘南)티베트족자치주등지에도일부산재해있다.중화인민공화국건국후일부둥샹족인들이감숙에서신강(新疆)으로이주해살았다.
2010년 제6차 전국인구보편조사 결과에 따르면 둥샹족의 총 인구는 62만여명이다.
둥샹족의역사를살펴보면직접적이고완정한문헌기록이없고단편적인기록과전설들만남아있다.지어는둥샹족이세세대대로살아온하주의주지에도단독적인기록이없다.현재둥샹족의민족내원은회회색목인(回回色目人),몽골인,다민족융합등설법이주를이룬다.
1. 회회색목인설: 이는 둥샹족의 전설에서 기인한 것이다. 전설로 보면 둥샹족의 조상은 중아시아와 서아시아의 쌀타인인데 이들은 징기스칸의 서부정벌군대가 귀환할 때 따라 왔으며 현재의 둥샹족 거주지역에 정착했고 점차 현지의 한족과 몽골족 등 민족과 융합되면서 둥샹족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때문에 둥샹족은 “쌀타”라고 자칭한다.
12세기말엽부터13세기초반까지몽골부가대초원남북에서흥기했고징기스칸이대규모의서부정벌을감행했다.몽골군은쌀타의여러지역을정복하는과정에서대량의회회군과기술자들을대동했다.징기스칸은정복과정에중아시아각국들에서포로한쌀타인을“탐마적군(探馬赤群)”에편입시켰다.이런쌀타인중에는무기장인,수군등이있었는가하면상인들과귀족,전도사등도있었다.정복자들은거주지내에쌀타의기술자들을유형에따라한지역씩거주하도록했으며그유형에따라마을을명명했다.예하면대장쟁이촌,은가공촌,가죽기술자등과같은이름으로이들이종사하는생업과연관이되었다.그외둥샹족이살고있는지역에는“둔전(屯田)”,“둔지(屯地)”,“민지(民地)”,“신둔지(新屯地)”등명칭도남아있는데이는“탐마적군”이당시이런지역에서둔전을실시했음을유추해볼수있는대목이다.그외에도둥샹족은체질특징으로볼때중아시아인과비슷한점들이있다.남자들은코가오똑하고눈확이깊으며수염을길게기르고얼굴은타원형이다.여자들은피부가흰것이특징이다.이런특징들은둥샹족이이슬람교를신봉하던중아시아쌀타족과연관이되어있음을말해준다.
2.몽골족설: 몽골족에서 기원했다는 설에는 또 두가지 갈래가 있다.
그하나는둥샹족이징기스칸이서역을정벌할때하주(河州)일대에주둔시킨몽골군의후예이며이들이점차군대로부터백성으로변했다는것이다.전설에따르면징기스칸통치시기에많은몽골군이하주일대에주둔했다가그후철수했으나여전히일부부대가지금의둥샹족거주지역에남아있게되었다.후에이슬람교가서북지역인청해(靑海),순화(循化)를거쳐하주일대에들어왔으며현지의대다수몽골인들이이슬람교를믿으면서점차둥샹족을형성했다는것이다.
이런전설은일정한역사적근거가뒷받침한다.1226년징기스칸이서하(西夏)를진공하였고이때하주는몽골군의중요한거점지역이었다.그후하주일대는몽골군의중요한요충지로되었다.13세기말엽에이르러이지역의몽골족친왕이이슬람교를믿기시작했고15만명에달하는부하들중절반이상이이슬람교를믿었다는기록이있다.
몽골족 유래설 중의 다른 할 설법은 둥샹족이 원나라 우구데이칸국의 일부 몽골족의 후예라는 것이다. 이들은 당시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주변 민족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고 이로 하여 불교를 믿는 몽골족과 충돌이 발생했으며 종교 이단자로 여겨져 결국 동부에로 이동했다. 이들은 몽골족과 연계가 단절되었고 몽골문과 이슬람교가 사용하는 아랍문이 달랐기 때문에 몽골어는 구사했으나 몽골문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3.다민족융합설:이설법은동샹지역의회족을위주로현지의몽골족,한족,티베트족이장기적으로살아오면서둥샹족을형성했다는것이다.전설로보면최초에둥샹족이형성될때서북에서온이슬람교도들이포함되었고그후이곳에정착한몽골족과일부한족들이이슬람교를믿게되었다.청나라동치3년즉1864년과광서21년즉1895년에서북의이슬람교도들이봉기를일으켰는데이때이슬람교에교화한한족이많았다고한다.중화인민공화국건국후의조사자료로보면둥샹족은회족과한족,티베트족과기타민족의요소들이남아있었다.마(馬)씨와목(穆)씨성의둥샹인은대부분회족에서왔고왕(王)씨와강(康)씨,장(張)씨,고(高)씨,황(黃)씨등은그조상이한족이라한다.
전설과 역사자료로 볼 때 둥샹족은 14세기 후반에 둥샹에 거주하던 여러 민족이 융합되어 형성된 것이라는 일설이 있다.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한 사람들은 몽골인과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색목인이었다.
역사적으로둥샹족은민족적인압박과계급적착취를당했다.명나라때에는이갑(里甲)제도를실시했고청나라때에는회사(會社)조직을설치했으며조정에충성하는둥샹족귀족들은이장(里長)혹은갑수(甲首),연총(練總),회장(會長)등으로임명됐으며이들을통해둥샹족인들은통치하고수탈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창건되기전몇십년간둥샹족거주지역은감숙성에소속되었으나둥샹족이집거한임하지역은사실상봉건군벌들의통치하에있었다.1928년에집거지역은화정(和政),녕정(寧定),영정(永靖),임하(臨夏)네개현으로나뉘었다.
1949년 8월 둥샹족 거주지역이 해방되었고 비준을 거쳐 둥샹자치구를 둥샹족자치구로 개명했다. 1955년에는 또 둥샹족자치현으로 개명했다. 그외 1953년과 1954년에 화정현의 양가사, 아리마무, 감고와 임하의 안가파, 부가, 호림가 등지에 민족향을 설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