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족의 문화와 예술
언어와 문자:
이족의언어는한어-티베트어계티베트미얀마어족의이어(彛語)갈래에속하며북부와동부,남부,동남부,서부,중부등여섯가지방언으로나뉜다.이중에서북부방언은사천(四川)과운남(雲南)의영낭(寧蒗)등현들을포함한지역들에서사용되고동부방언은귀주(貴州)와운남동북부의이족이사용하며남부방언은운남과광서(廣西)일대의이족이주로사용한다.기타세가지방언은운남의이족이사용하는것으로알려졌다.
이족은자신만의문자를보유하고있다.그문자는표의문자또는음절문자라불리며사서에서는이를“찬문(爨文)”,“위문(韪文)”이라고불렀다.
문화신앙:
이족의종교신앙은원시종교색채가진해자연숭배와토템숭배,조상숭배와만물에는모두영혼이있다는관념이강하다.본민족의제사장인“필마(畢摩)”,무당인“수니(蘇尼)”는이족지역에서일정한영향력을가지고있으며이런상황은사천과운남성이인접한대량산(大凉山)과소량산(小凉山)에서더욱뚜렷하다.그외일부지역에서는도교와불교를신봉하기도하며근대이후에는기독교와천주교도일부이족지역들에전파되었으나그숫자는많지않다.
자연에 대한 이족의 숭배는 만물에는 모두 영혼이 있다는 관념에서 비롯되었다. 과거 이족거주지역은 생산력이 낮았고 자연에 대한 사람들의 개조능력도 부족하였기에 만물과 만사에는 영혼이 들어 있고 이들은 모두 사람과 마찬가지로 생명과 의지를 가진다고 여겼다. 이족은 사람이 태어날 떄 그 영혼이 육체에 담기며 죽은 후에는 영혼이 육체를 떠나 존재한다고 여겼다. 이로 하여 하늘과 땅, 돌, 불, 산에 대한 숭배가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이족의 경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원시시대에 이족은 토템숭배를 하고 있었으며 인류와 동물, 식물과 혈연관계가 있다고 믿었다. 현재 이족사회에는 대량의 토템숭배유적들이 남아 있는데 주로는 참대숭배, 조롱박숭배, 소나무숭배, 동물숭배 등이 있다. 예하면 운남징강현 송자원일대의 이족들은 “황금참대”를 조상신으로 숭배하며 운남 애뢰산지역 이족들은 “조상조롱박”을 모시는 풍속이 있다.
복장문화:
이족은 그 갈래가 많고 거주지가 분산되어 있으며 자연환경이 복잡하고 사회경제발전수준이 불균형하다. 따라서 그 복장도 재질과 디자인, 무늬 등에서 확연히 다른 지역적 특징을 가진다.
음식:
이족의 주식은 콩, 옥수수, 메밀, 입쌀 등이다. 부식유형의 식물로는 육류, 콩류, 야채류, 조미료, 음료 등이 있다. 육류로는 소와 양, 돼지, 닭고기를 주로 먹으며 손님을 대접할 때는 꼭 집짐승을 잡는데 존귀한 손님일 경우에는 소를 잡고 그 다음으로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는 양과 돼지를 잡는 경우도 있다. 대두로 만든 음식 중에 “두라바”라는 음식은 대두를 갈아 콩물을 만들고 그 알갱이에 절인 배추를 넣어 함께 삶는 요리이다.
이족들은 손님을 대접할 때 술대접을 중히 여긴다. 이족의 속담에는 “한족들은 차를 중히 여기고 이족들은 술대접을 중시한다”는 말과 “술이 있으면 연회이고 술이 없으면 돼지,양을 잡아서 올려도 연회가 아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술을 중시한다. 이족의 술에는 주로 탄탄주(단지술), 통주(통에 담은 술), 수주 등이 있다.
문학:
이족의 민간문학은 그 형식이 다양하고 내용이 풍부하다. 여기에는 시가, 신화, 전설, 동화, 속담, 수수께끼 등이 포함되며 그 절대 대부분은 민간에서 널리 전해온 구두문학이다.
역사서사시 유형의 시가로는 “러어터이”, “마무터이”,”아시의 조상들”, “찰무” 등이 대표적이다.
장편서사시와 장편서정시의 대표작으로는 “나의 외종사촌여동생”, “어머니의 딸”, “아스마”, “쌍무지개”등을 들 수 있다.
민간이야기와 전설은 일정한 역사시기의 사회의 상황과 부동한 특징을 반영한다. 예하면 “홍수이야기”, “만물의 기원”은 인류의 기원에 대한 이족의 인식을 보여주며 “비천마”, “러무아즈” 등은 노예와 노예주간의 마찰을 다루면서 서민들의 총명과 지혜를 찬미하는 내용이다. 민간 이야기중에는 대량의 신화도 있는데 예하면 “아다지로”, “소의 내력”등 작품이다.
그 외 이족의 속담은 “얼비얼지”라고 하는데 이족인들이 즐기는 일종의 구두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그 특징은 단어와 구절이 짜임새가 있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입에 쉽게 오르고 읽거나 암기하는데 편리해 대중적인 기반이 탄탄하다. 이는 또 사람들의 인간사 처리의 근거로 되기도 하며 그 중 교육적 의미가 있는 경구는 도덕규범과 관습법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