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이족의 전통명절

criPublished: 2019-04-17 18:37:26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만물에는 영혼이 있다고 믿고 조상을 숭배했던 이족은 여러가지 전통명절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주요한 명절로는 10월 설, 횃불절이 대표적이고 지역적으로 쇠는 명절과 제사활동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

-10월 설:

이족이 전통적으로 쇠는 설이며 통상 음력 10월 상순에 길일을 택해 경축한다. 그 명절기간은 닷새, 엿새정도이며 명절이 되면 돼지와 양을 잡으며 가정형편이 넉넉한 집에서는 소를 잡는다. 이 명절이 되면 이족은 화려한 옷을 떨쳐입고 연회를 차려 손님을 접대하거나 친구,친지들을 찾아 다니면서 선물을 교환하군 한다.

-횃불절(火把節):

이족인들의 제일 성대한 전통명절이며 운남의 여러 민족들이 공동으로 경축하는 명절이다. 횃불절은 통상 음력 6월 24일 혹은 25일에 진행하군 한다. 횃불절에는 소와 양을 잡아 조상에게 제를 지내며 어떤 지역에서는 토지신에게 제를 지낸 다음 함께 식사를 하면서 풍작을 기원한다.

횃불절은 3일간 경축하게 되는데 첫날은 온 집 식구들이 단란히 모여 앉아 지내고 그 후의 이틀은 씨름, 경마, 투우, 바줄다리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절을 즐긴다. 이어 방대한 규모의 우등불야회를 개최해 날이 새도록 즐겁게 놀군 한다.

이족의 횃불절에는 오랜 전설이 있다. 쓰다리라는 악마가 인간세상에 나타나 사람들의 행복한 일상을 파괴했다고 한다. 이에 포총이라 부르는 힘장사가 악마와 겨루기를 하여 이겼으나 악마는 여러가지 해충을 만들어 사람들의 곡식을 절단내군 했다. 포총이 사람들을 모아 저나마 횃불을 들게 하여 해충을 태워 죽이고 결국 고향사람들이 행복하게 살아가게 했다는 내용의 전설이다. 이날이 바로 음력 6월 24일이다.

횃불절 저녁이 되면 이족의 마을들에서는 한장 길이의 큰 횃불을 세워 놓으며 여러 가정의 작은 횃불은 큰 횃불 주위에 놓아 이족인들의 단합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명절옷차림을 하고 횃불을 에워싸고 노래하고 춤춘다. 클라이막스 부분에서는 사람들이 활활 타오르는 횃불을 들고 집과 밭을 돌면서 노래를 부르며 함성을 발하기도 한다. 그 횃불이 서로 이어진듯 하고 불로 만든 용들이 꿈틀거리는듯 하여 장관을 이룬다. 낮에 남자들은 씨름이나 경마, 투우, 투양, 장대오르기 등 행사들과 경기에 참가하고 여자들은 보통 노래와 춤으로 즐기며 투우 등 경기에서 우승한 남자들에게 술을 권하기도 한다.

보년절(補年節):

사천, 운남, 귀주 등지에 살고 있는 이족인들은 설후의 음력 2월 초열흘과 열하루날에 다시한번 설을 쇠는데 이족어로 이 명절을 “마룽화”라고 한다.

제룡행사:

제사중에는제룡즉용에게제사를드리는행사가제일성대하다.제룡행사는2,3,4월중의용일(龍日)을선택하며마을이나산채를단위로사람마다쌀한사발,소금한덩어리를가져온다.연장자가향불을준비하며용나무아래에서함께제사를지낸다.운남의이족은정월의첫번째용일을택해용에게제사를지내며제사를마치면모두들땅에앉아나이순에관계없이식사를하군한다.이때는밥은각자가준비해오며함께고기를먹군하는데이역시대규모집회라고할수있다.

삽화절(揷花節):

해마다음력2월초파일은이족의삽화절즉꽃꽃이명절이다.이명절에는아름다운전설이있다.옛날초웅담화산(曇華山)의잔혹하고황음무도한지방관리가있어“천선원(天仙園)”을만들어놓고는그속에선녀들이천을짜고꽃을수놓는다고사람들을속였다.그리고는여러마을들에서제일예쁜처녀들을이곳에보내게하고는자신의음욕을채웠으며이족처녀여러명이핍박에못이겨목숨을끊기도했다.미이시라는아릿다운처녀가이들을구하기위해음력2월초파일에“천선원”에홀몸으로들어가머리에꽂고있었던독이있는꽃을술에타서관리와함께마셨고자신을희생하면서악덕관리를독살했다.사람들은이용감한처녀를기리기위해이날을삽화절로정했다.이날이면사람들은두견화를꺾어문앞과집뒤에꽂으며소나양의뿔에도걸어두군한다.청년남녀들은이날이면명절옷차림을하고함께모여춤과노래로즐기군한다.마음이맞는청년남녀들중한사람이두견화를다른사람의머리에꽃아주면이는상대방에대한영원히변치않는사랑을상징하는것이다.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