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족의 역사
나시족(納西族)은중국운남(雲南)에살고있는소수민족이며대부분이운남서북부의여강시(麗江市)에집거해있고운남의기타시와사천(四川)의염원(鹽源),염변(鹽邊),목리(木里)등현에도일부분포되어있다.그외에도티베트의망강현(芒康縣)에도일부분이살고있다.
나시족은 본 민족의 언어가 있다. 그 언어는 한어-티베트어계 티벳-미얀마어족에 속한다. 나시족은 예술분야에서 그 재능을 인정받은 민족으로 시와 문장, 회화, 조각, 음악무용 예술은 해내외에 명성을 떨치고 있다.
나시족은가족구조를중시하며집거정도가높은민족이다.로고호(瀘沽湖)지역의나루인의친족조직은원시적인특징을많이유지하고있다.
나시족은자칭이많다.운남성여강시옥룡(玉龍)나시족자치현,고성구(古城區),나시리수족자치현등지에살고있는나시족은“나시(納西)”라자칭하고,운남성영랑현(寧蒗縣)영녕(永寧),취의(翠依),사천성염원현,로고호주변에살고있는나시인들은“나(納)”혹은“나루(納日)”라자칭한다.그리고영랑현에살고있는일부사람들은“나헝(納恒)”이라하며운남성샹그릴라현의나시족들은“나한(納罕)”이라한다.그외에도“마리마사(瑪麗瑪沙)”,“루루(路路)”등으로도부른다.이런이름들중에서나시,나루,나한,나헝등이많이쓰이며나시라고자칭하는사람이총인구의80%이상을차지한다.이런상황에근거해대다수사람들의뜻을존중하여국무원은1954년에이들의민족명칭을나시족이라고규정했다.여기서“나”는“크다”,“웅대하다""검다”등뜻을나타내며“시”,“루”,“한”등은사람이라는뜻을나타냈다.
학계에서는나시족의민족기원과관련해원고시대중국서북부지역의고대챵족(羌族)인들이남쪽으로이주해민강(岷江)상류에왔으며그후다시서남방향의야룽강유역에이주했고다시서쪽으로금사강(金沙江)상류의동부와서부지역에정착한것으로분석하고있다.나시족분포지역의고고발굴을통해일부학자들은나시족은남쪽으로이주한고대챵족인들과현지의토착민들이융합되어형성되었다는주장을내놓고있다.고고학자들은여강부근에서고생물화석과인류의대퇴골화석,두개골화석,구석기를발견했으며이는지금으로부터약10만년전의것으로판명되었고고고학계에서는“여강인”이라부른다.그후영녕,염원등지에서신석기유적과도기,철기,동기등이발견된적이있다.또사천성감제티베트자치주와양산(凉山)이족자치주,티베트자치구의일부지역들에서석관장(石棺葬)문화흔적이연이어발견되었는데이지역은역사상나시족의활동범위였던것으로알려졌다.
역사적으로보면한(漢)나라와진(晉)나라때금사강과야룽강의일부지역에서소금과철등이많이났다는기록이있다.당(唐)나라때나시족의목축업이발달해소와양의사육및매매가활발했다.농업경제도발전했고야금기술은비교적높은단계에까지이르러나시인들이만든병기는“보물”로까지불리웠다.
명(明)나라때목씨토사(木氏土司)가관리했던여강나시족지역은그경제중채굴업이발전해각지에은광,동광,금광,철광등이있었는가하면소금을생산하는염정(鹽井)도적지않았다.
1949년 이전에 여강옛성의 80%이상의 인구가 수공업과 상업이 주요한 생계수단이었으며 1940년대에 독자적인 수공업 종사자가 2500여명에 달했다고 한다.
목축업은 나시족지역 농촌경제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소와 말, 나귀, 돼지, 양 등을 기르는 농가가 많으며 산간지역 농가의 목축업비중이 높아 집집마다 양들을 기른다. 그중에서도 “여강말”은 “체구가 작으면서도 몸집이 단단하고 높은 산과 좁을 길을 잘 걷고 수십리를 가도 땀을 흘리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며 “운남3보”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1961년에 중국은 여강나시족자치현을 설립했다.
나시족이 살고 있는 지역은 아름다운 자연풍광을 자랑한다.
1997년12월유네스코는여강옛성을“세계문화유산”으로등재했다.2003년삼강병류(三江竝流)가세계자연유산으로등재되었고9월에는나시족동파고적(東巴古籍)이세계기억유산명록에등재되었다.2011년7월6일국가관광국은여강옛성을5A급관광풍경구로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