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리족의 역사

criPublished: 2019-03-20 14:59:01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1840년아편전쟁후서방의열강들이경주구(琼州口),지금의해구(海口)시를‘통상항’으로개방하도록청정부를압박함으로써대량의아편과면사,등유등서양의물품이해남도에난무했고서양상인들은리족지역의종우,빈랑등특산품을약탈해갔다.이는해남도의상업자본을활성화해과거낙후하던리족의집거지역에서도장마당이나타나게되었으며리족지역의자연경제기반과농민들의가정수공업을다소파괴하기도했다.

대혁명시기, 중국공산당은 해남도에서 혁명사업을 전개했으며 토지혁명시기에는 리족 지역에서 농촌 혁명근거지를 세우고 토지혁명을 성세호대히 진행했다. 또 항일전쟁시기에는 해남도에서 각 족 인민들로 구성된 항일유격대가 생기기도 했다. 이들은 한족과 어깨 겯고 외세를 몰아냈다.

1948년 6월에 중국공산당은 백사, 보정,악동 등 3개 현, 9월에는 해남도의 70여개 도시와 광범한 농촌을 해방했으며 1950년 봄에는 해남도 전역을 철저히 해방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중국 당과 정부는 민족지역에서 민주개혁을 실시해 불합리한 토지제도를 개혁하고 빈곤한 농민들의 토지문제를 해결했으며 새 중국 창건 이후에는 일련의 수리 시설을 건설해 농업기반시설을 한층 보완했다. 20세기 50년대 철제 농기구의 사용에서 60~70년대 선진적인 농업생산기술의 부단한 보급,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이후의 농업과학보급망의 구축과 보완, 농촌과학기술인재의 양성, 현대농업 신기술 도입 등은 리족 지역 농업기술의 낙후한 국면을 개선했으며 농업생산의 비약적인 발전을 추진했다.

리족의 민족언어는 중국-티베트어족 뚱족 어족의 리족어 갈래에 속하며 어음, 어법, 어휘 등이 부이어,수이어와 비슷하다. 대다수 리족인들은 한어 구사가 가능하다.

리족은 본 민족의 문자가 없으며 한문을 통용한다. 하지만 1957년 당과 정부의 도움으로 라틴문자를 기반으로 한 리족문을 창제했다.

首页上一页12 2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