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묘족의 문화와 예술

criPublished: 2018-11-01 11:08:54
Share
Share this with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

*문학

묘족의문학은민간문학과관변측문학두가지로분류할수있다.민간문학이란민간에서구두로전해져내려온문학을말하고관변측문학이란문자로기록또는창작되고전파된문학을가리킨다.그중주로시가의형식으로표현되는민간문학은한민족의가장중요한문학형식으로서강한원시적생명력을자랑한다.묘족의민간문학에서가장대표적인것은고가(古歌)이다.고가는묘족의집거지에서가장많이전해져내려온창세기주제의시형화된신화로서‘고가’또는‘고가고사’(古歌古辭)로도불린다.묘족의고가에는삼라만상이포괄되어있는바우주의탄생에서인류와물종의기원,천지개벽의역사,묘족의대이주,묘족의고대사회제도와일상생산생활등내용을모두다루고있어묘족고대신화의집대성이라고할수있다.묘족의고가고사신화는보통제사나관혼상제,친우회,명절등장소에서부르며중노년,또는무당,가수가부르는경우가많다.묘족의고가고사신화는민족의심령적기억이며묘족고대사회의백과전서와‘경전’으로서사학과민족학,철학,인류학등분야에서큰가치가있다.이런고가고사는오늘까지도묘족의민간에전해져내려오고있지만현대문화와시장경제의충격으로지금은실전의위기에직면하고있다.대강(臺江)을일례로들자면전현의13만묘족인중고가를완정하게부를수있는사람이몇몇안되며완정하지못한고가를부를줄아는사람마저도200여명에불과하다.고가에대한보호가의사일정에오른실정이다.

묘족의관변측문학은묘족의민간문학만큼성과가찬란하지못하다.묘족의관변측문학의최초의대표인물은초나라의굴원이라는설도있지만이런설법에대해많은논쟁이존재하기도한다.묘족의관변측문학의대표주자로는당대의저명한작가심종문(沈從文)을꼽을수있다.심종문외에도많은묘족작가들이두각을나타내기는했지만심종문의영향력을따를만한묘족작가는아직없다고볼수있다.

*무용

묘족의무용으로는갈대생황춤,걸상춤,동고(銅鼓)춤을꼽을수있는데그중갈대생황춤이가장널리보급되고있다.갈대생황춤은정월보름,3월3일,중양절등명절과풍작의날,혼례식날에추며무용동작은하반신의변화를강조한다.민간의군중성갈대생황춤은보통2명에서5명의남자가갈대생황을불면서리드하고기타사람들은그주위를원을긋고함께춤을추는형식으로진행돼분위기가열렬하고장면이가관이다.경쟁성을띤갈대생황춤은보통명절이나집회에서춤기교가높은2명에서4명의남녀가표현하며고난이도동작을선보여인기를모은다.

* 음악

묘족의음악은성악과기악두가지로분류된다.묘족의성악은악기의반주없이부르는경우가많다.묘족의민가는그내용이풍부한바사랑노래인유방가(游方歌),술노래,노동노래,어린이노래,수수께끼노래등으로나뉘며그곡조가각이하다.그중비가(飛歌)는귀주성동남부의일종의특별한민가가창형식이다.비가는보통산위에서목청껏부르는데곡조가우렁차고호매로운것이특징적이며독창또는대창,합창의형식으로사랑이나시세정치를노래한다.또한각종민가형식을보면전통적인가사가있는가하면즉흥적으로지어낸가사도있다.그리고반가(盤歌)는묘족청춘남녀의사랑노래인데대창의방식으로부른다.그중소통(昭通)일대의묘족의‘반가’가아주재미나다.총각이처녀에게반하면총각은자신과나이비슷한총각둘을데리고처녀집에찾아가그집어른들에게구혼의사를밝힌다.처녀의부모는청혼을받아들일의사가있으면반가를부르는것을허락한다.반가가회는보통처녀측노인이배치하며남녀쌍방의대창에참석한대반들은참모역할을할뿐만아니라그기회에자신의짝도찾는다.반가는보통남자가먼저부르며쌍방이서로대창을하면서자신의재능을과시한다.만일남자측이지면여자측은물벼락을퍼부어남성을쫓아보낸다.물벼락퍼붓기는묘족마을에서악의가아닌선의적인세례행위이다.만일서로노래가잘오고가면약혼에까지이를수있습니다.그리고묘족의악기로는갈대생황,새납,퉁소피리,호금,월금등이있다.

* 자수

자수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묘족의 수공예술이다. 자수는 묘족 복장의 주요한 장식 수단일 뿐만아니라 묘족 여성 문화의 대표주자이기도 하다. 묘족의 복장은 평상복과 명절복으로 나뉜다. 묘족은 평소에는 일반복 차림이지만 명절이나 시집갈 때면 성장을 차려입는다. 묘족의 자수는 그 소재가 아주 풍부하지만 보통 용이나, 새, 물고기, 동고, 화훼, 나비 등을 수놓으며 일부는 묘족의 역사적 화폭을 수놓기도 한다. 아름다운 묘족의 자수는 12가지 기법으로 화려한 무늬를 낸다.묘족의 자수는 종류가 아주 많은 바 색채로 구분하면 단일색 자수와 채색자수로 나뉜다.묘족의 자수는 색채의 운용과 도안의 매치를 통해 시각상의 멀티공간 효과를 내는 것이 특색이다. 또 묘족의 자수는 도안과 문양마다에 전설이나 일화가 반영되어 민족문화의 내함과 민족정감이 다분해 민족의 역사와 생활을 보여주기도 한다.

*날염

날염 역시 세세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묘족의 전통공예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묘족의 풍습에 따르면 여성이라면 누구라할 것 없이 날염기예를 전승 받아야 할 의무가 있으며 어머니는 딸에게 날염제작을 가르칠 의무가 있다. 때문에 묘족의 여성들은 소시적부터 이 기예를 익힌다. 묘족의 날염은 생산자가 자체 생활수요로부터 출발해 창조한 예술품이라고 할 수 있다. 묘족이 날염예술은 오늘날 묘족 지역에서 날염예술을 주도로 하는 복장과 혼인명절 풍속, 장례풍속 등 독특한 세시풍속 문화를 형성했다.

* 은 장신구 제작 공예

묘족의 은 장신구는 아주 유명한데 가정 작업장에서 남자가 수공으로 제작한다. 묘족의 은세공 기술자들은 여성의 자수나 날염 등 문양에서 창작영감을 얻으며 본 민족의 전통적인 풍속과 미적 정취에 따라 정교하고 특색 있는 은 장신구를 제작한다.

* 의학:

묘족이거주하는산간지역에는약물자원종류가많고산량이풍부하며품질이좋기로유명하다.흔히볼수있는약재종류는1500종에달하며자주사용하는약재는200종에달한다.최근년간중국은묘족집거지역에많은약재재배생산기지를세워천마(天馬),복령(茯嶺),두중(杜仲)등자주쓰이는약재의인공재배에진력하고있다.

Share this story on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