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김소윤 교수,'중한청년세대-미래 협력의 중요한 동반자"
한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김소윤 교수
지난 4월 25일 한국 서울에서 중∙한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공동 대응을 포함한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양국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 논의는 지난해 12월 중∙한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 체결 연장선이었는데요.
오늘은 한국 서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김소윤 교수님(이하 ‘김 교수’로 약함)과 이야기를 나눠 보겠습니다.
Q1. 김 교수님은 한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예방의학전문의와 의료법윤리학과 교수로, 또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원장으로 활약하시고 있는데요. 우선 의료법윤리학 분야에서 중점으로 추진하시는 연구는 무엇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김 교수: 네. 저는 최근에는 국제보건법 연구와 첨단의과학(尖端医科学)의 법 윤리 문제, 환자안전 및 노인보건 정책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첨단과학의 시대에 전 산업 분야가 급격히 발전하는데 의료영역 역시 유전학, 생물학 등과 결합해 다양한 신약 및 연구가 활발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바로 의료 윤리적인 문제입니다. 이에 저희 연세대학교는 의료 윤리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한 의료법윤리학 분야로는 1998년에 의료법윤리학연구원을 설립하고, 우리나라 및 세계의 보건의료분야에 필요한 법 윤리적 규범에 관한 연구활동과 학문 후속 세대 양성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주요 중점 추진으로는 생명윤리, 공중보건, 의료 분쟁, 국제보건법, 미래 의학 등 다방면에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며 의료법 윤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이 2014년 부터는 WHO CC for Health Law and Ethics(세계보건기구 의료법윤리 협력기관)으로 지정을 받았어요. 이어서 2018년, 2022년 각각 재지정을 받으면서 IHR(국제 보건 규약, 국제 보건 규정∙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등 국제보건법 연구 및 각 국가의 보건의료법률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국회보건의료법포럼 및 한국 국회국제보건의료포럼의 설립 지원 등을 통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보건의료법률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Q2. 해외 여러 나라 의료계와도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중국과는 어떤 교류가 있었는지요?
김 교수: 네. WHO CC for Health law and Ethics인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이 2014년에 한∙중 양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간 의료기기 관련 법률 공동 세미나를 주선하여 개최한 바 있습니다. 또 중국 칭화(清华)대학과 상하이(上海)대학의 의료법분야 교수, 중국의 의료법 전문가들과 교류한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세대학교대학원에 국제보건학으로 유학 온 중국 학생들과 수업으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거꾸로 한국인이 중국에서 십 수년 활동하면서 중국통이 되어 귀국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학생과도 중국의 보건의료관련 교류를 위한 토의 등으로 중국과 연결을 끊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APACPH(아시아.태평양공중보건학회)회장으로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중국을 포함한 22개 국가의 100여개 기관 회원들과 다양한 기회로 교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에는 중국 우한(武汉)대학에서 APACPH를 개최한 바 있는데요, 그 당시 APACPH 집행진으로서 회의에 참여한 적 있습니다. 2011년과 2017년에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이 주최하는 APACPH에 참여한 베이징(北京) 대학 교수와 회원 기관의 교수 및 중국 병원협회 관계자와 교류를 했습니다.
Q3. 그동안 중국의 의료산업도 성장가도를 달렸습니다. 중국 정부는 14차 5개년 계획(2021~2025)에서 바이오 분야를 핵심 8대 육성 산업으로 정하고 정책 지원과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연계로 지난 4월 한국에서 중∙한 정부 보건부처간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공동 대응을 포함한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가 개최되었고요. 김 교수님은 중국의 보건의료 전망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요?
김 교수: 지난해12월 중국 베이징에서 ‘더 건강하고 안전한 미래를 위한 협력’을 주제로 ‘제16차 한∙중∙일 보건장관회의’에서 감염병 공동 대응을 포함한 보건의료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논의가 있었고요, 올해4월 서울에서 한∙중 정부 보건부처간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공동 대응을 포함한 보건의료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논의는 언론보도를 통해 보면서 저도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요. 이는 그만큼 국제적으로 지구촌이 하나라는 점을 인식하고, 공중보건(公衆保健)도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모색을 위한 노력의 방점을 보여 준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중국은 유전자치료, 세포치료 등 첨단의과학 분야에 대해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제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부터 지금까지 중국 방문은 못하였지만, 각 매체의 기사보도나 정보들을 통해서 보더라도 중국의 보건의료분야는 다른 산업분야의 발전과 함께 매우 빨리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 추진이 과학기술, 경제발전을 견인한다는 측면은 주의 깊게 보는 점입니다.
Q4.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고급 보건의료산업의 디지털화, 인공지능(AI), 생명 공학 기술 등의 발전과 데이터 활용, 투자와 협력 등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런 시대 발전 흐름 속에서 중∙한 양국의 보건의료산업의 협력에 대한 전망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김 교수: 지난 2021년 언론보도를 통해서 ‘중국 정부와 관련 연구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컴퓨터에 의한 질병 진단 분야에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진단 기술은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의 의료 시설 부족 상황을 타개할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시간이 부족한 의료진들을 직접 만나거나 멀리 떨어진 병원에 방문할 필요 없이 AI 기술에 기반한 진단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기본적인 처방을 하는 등 원격지에 대한 의료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라는 발표를 보고 주목했는데요. 중국은 이미 세계적인 기술과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고, 자국 내수시장도 방대하기 때문에 보건의료산업 이 분야의 발전도 충분히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바이오 첨단의과학과 IT 분야에 우수한 인력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중 양국 간 협력공간은 넓다고 생각합니다. 양국의 협력은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데 이점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저는 그동안 추진해온 선진 보건의료분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중 서로간 가지고 있는 장점과 강점을 더욱 강하게 발전시키는 교류협력의 증진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Q5. 김 교수님은 지난해에 제53차 APACPH(아시아.태평양공중보건학회) 회장으로 취임 후 올 하반기 10월에 APACPH 주최로 <공중보건: 미래사회와 지역사회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을 핵심 주제 학술발표회 개최를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행사 및 준비 상황에 대한 소개말씀 부탁드립니다.
김 교수: 네. 지난해 11월에 APACPH(아시아.태평양공중보건학회•Asia-Pacific Academic Consortium for Public Health)회장으로 취임하여 2년간 역할을 맡게 되는데요.
APACPH도 코로나 팬데믹으로 주춤했다가 올해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준비에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22개 국가 및 지역 100여 개의 기관에서 보건분야 전문가, 교수, 대학원 학생 등 15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각국의 참가자들은 미래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보건학의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실천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특히, 이번 APACPH개최에서 주목하는 점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미래 감염병을 대비하는 세션에는 중국 전문가의 참여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미래 사회를 준비하면서 보건학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다 같이 모여서 토론하고 고민하는 토크 콘서트 그리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난에 대비하는 세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보건학의 미래를 논의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Q6. 글로벌 미래 보건의료 산업의 경제교류 주역도 아무래도 의료분야 청년 전문 인재들이 큰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분야에 몸 담고 있는 중∙한 양국 청년들에 대한 조언이 있으시다면요?
김 교수: 한국과 중국에서 보건의료를 전공하고 있는 청년 세대가 현장에서 같이 공부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난다면, 미래 이 분야에서 중요한 일들도 협력할 수 있는 중요한 바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한∙중 양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이미 그러한 접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로간 보건의료에 대한 기회를 갖게 되었을 때부터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진심으로 신뢰할 수 있는 친구이자 동료를 만들 수 있다면, 미래 협력의 중요한 동반자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재 양국으로 유학을 가지 않더라도 양국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기회도 있을 것입니다. 이럴 때 동행한 자국(自国) 사람들과 제한된 활동보다는 여러 국가의 학자들과 다양한 식견과 견해의 지식이나 정보를 교환하는 교류의 시간을 가진다면 미래를 위한 가치 있는 투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7. 마지막으로 중국도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노인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정책 활성화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습니다. 일반 가정과 지역사회의 양로 서비스, 노인 요양원, 재활병원 등 의료시설과 서비스 개선, 장애인 노인을 위한 인터넷+간병서비스 개발, 장기양로보험제도 시행, 양로 서비스와 의료자원 통합 등의 제시가 꾸준히 나오고 있어요. 최근, 김 교수님은 한국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속도에 대응으로 ‘간병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확대 연구에 전념하신다고 들었어요. 간병인 관리제도 개선사업은 어떤 구상인지요? 아울러 중국과 협력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김 교수: 네. 제가 한국도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에 발 맞추는 질(質) 높은 ‘간병문화’ 정착을 위한 연구에 전념하게 된 계기가 있어요. 지난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였던 2022년, 2023년 연달아 요양병원에 계시던 부모님이 돌아가시면서 한국의 요양병원 운영 실태에 대해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주의 깊게 보면서 시작됐습니다. 평소에 보건의료정책을 연구하는 입장에서 요양병원 및 요양원 시설의 현재의 장점은 장려하고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은 바꾸는 관리제도에 대한 연구입니다.
한국의 병원에서는 개별 환자에 대해서 보호자나 간병인이 병원에 상주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최근 급성(急性)기 병상에 대해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고 병원에서 간병을 담당하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나, 건강보험 재정의 소요 등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서 운영되는 요양원의 경우 요양보호사를 두고 있으나, 많은 입원 환자 수에 비해 한 명의 요양보호사 배치로 인하여 돌봄이 세심하지 못한 현실입니다.
요양원이나 장기요양병원의 입원 환자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제도 대상도 아니고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대상도 아니어서 환자와 보호자가 직접 간병인을 고용하고, 그 비용도 전적으로 본인들이 부담을 하고요. 특히 지나간 코로나 19 팬데믹 같은 열악한 상황에서 간병인이 돌봐야 하는 환자의 수가 많다 보니 그 대체인력은 전문교육을 받지 않고 간병 경험도 없는 상태에서 바로 간병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등의 현실은 정말 문제가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여기에 간병인력의 추가 확보도 난항으로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들이 기존 고용된 간병인에게 오히려 간병을 부탁하는 현실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시설의 간병인 관련 현실을 환자 안전의 관점에서 교육훈련 및 의료수가를 제도화하자는 것이 저의 주장입니다. 가령, 노인들이 높은 침상이나 이동 동선에 의한 낙상 등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 가능하면 빠르게 가정 또는 지역사회로 복귀하여 일상생활을 하면서 요양할 수 있도록 집안의 구조와 가구를 교체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사업을 정부가 지원하여 같이 추진하자는 것이며, 더불어 의료진이 집이나 지역사회로 방문해서 진료하고 재활을 도울 수 있는 의료체계를 만들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간병관리 시스템을 제도화하고 실천하고 있는 일본이나 스웨덴, 호주 등의 국가들과 비교연구 등을 하고, 이의 제도화를 위한 선도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요양을 제공하는 의료기관이나 간병인의 입장에서도 순응할 수 있는 제도 설계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 분야의 종사자도 연령대가 많은 시기에 단기간 자격을 갖추는 것 보다는 연령이 젊은 시기부터 전문 교육을 받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장기 적 경험으로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제도의 도입도 좋은 인력을 확보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정부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노인인구의 변화와 정책에 관련하여 고령화로 인한 의료산업의 선진화 고도화 및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 등 다양한 노인요양 문제 발생에 대한 대응을 위한 투자 지원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은 14억 인구 대국이라서 한국보다는 간병 인력 부족 문제 등을 덜 겪을 수 있으나, 요양 받는 환자와 보호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및 간병인 등의 입장에서 하나하나 세심하게 제도의 재점검 및 설계 등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한국의 간병인들 중에는 귀화한 조선족 또는 지린성(吉林省)옌볜(延边)에 거주하는 그 후손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중국어와 한국어 양국 언어가 능통한 이 분들에게 체계적으로 전문적인 간병 교육을 실행하고 향후, 중국에서 간병 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실습에 적용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에서 전문적 간병 경험이 풍부한 간병인 사례를 가지고 ‘한∙중 민관협력 간병인 양성 교육’으로 한∙중 양국 간 고령화 대응을 함께 해결해 나가는 교류협력에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한국의 요양병원 및 요양원 운영에서 좋은 장단점을 잘 분석한다면, 중국내 서비스 모델 개발에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리포터: 전념하시는 연구 꼭 이루 시길 바라구요, 또 그 연구성과는 지구촌으로 펼쳐 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김 교수: 인터뷰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소윤(金昭允•SOYOON, KIM)프로필
• 보건학 박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교수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제보건학과 주임교수
• 연세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센터장
•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원장
• APACPH(아시아∙태평양공중보건학회) 회장
• 한국의료법학회 회장
[주요경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전문의
• 한국 보건복지부 사무관, 기술서기관
• 국제보건의료학회지 편집장
•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편집장
• 한국골든에이지포럼 정책연구원 원장
[학력]
한국(서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한국(서울) 연세대학교대학원 보건학 석사
한국(서울) 연세대학교대학원 보건학 박사
인터뷰: CMG한국리포터 조미란 korean@cri.com.cn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한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김소윤 교수,'중한청년세대-미래 협력의 중요한 동반자"
지난 4월 25일 한국 서울에서 중∙한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공동 대응을 포함한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양국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 논의는...
시진핑 주석 아스타나에 도착...토카예프 대통령 공항서 영접
현지시간 7월 2일 정오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용기편으로 아스타나에 도착했다......
2024-07-02 15:36:44
시진핑 주석, 카자흐스탄 매체에 기고문 발표
7월 2일 아스타나에 가서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하기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카자흐스탄 프라우다와 카자흐스탄 국제통신사에 '한마음 한뜻으로 ......
2024-07-02 14:58:21
시진핑 주석, 아스타나에 도착
현지시간 7월 2일 정오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용기편으로 아스타나에 도착했다. 시진핑 주석은 상하이협력기구 회원국 정상 이사회 제24차 회의에 참석하고 카자흐스탄을 국빈방문한다......
2024-07-02 14:57:26
시진핑 주석 곧 아스타나 도착
7월 2일(현지시간) 정오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용기로 곧 아스타나에 도착해 상하이협력기구 회원국 정상이사회 제24차회의에 참석...
2024-07-02 13:33:01
영상 종합 더보기 >더보기 >
[시진핑을 만나다] 우리에 관한 회고록을 책으로 펴낼까 생각 중입니다
1d967801aedd4629a3fadd49d889cd9e
2024-04-30 17:12:18
[시진핑을 만나다] 그는 중국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습니다
011bb98a70ee490194a7dca7161d9af9
2024-04-22 15:00:19
2024허쩌모란국제포럼
59e3c6bef6fb4aaeb4f3a68333663562
2024-04-12 13:40:17
경제
문화
사회
관광
청취자
연예&음악
More>
네이버 블로그
트위터 공식계정
페이스북 공식계정
기타 플랫폼
편성표
연락처
공지사항
CMG와 함께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