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고전] 해와 달은 빛이 다르고 낮과 밤이 따로 있다

cri2022-11-01 14:50:47

“일월불동광, 주야각유의”

“日月不同光,晝夜各有宜”

인용:

“셋째,의견상이를타당하고효과적으로관리통제해야할것입니다.‘해와달은빛이다르고(日月不同光)낮과밤이따로있다(晝夜各有宜)’는말처럼서로다르기때문에세계가다채롭고의견상이가있기때문에같은것을모으고다른것을변화시킬필요가있습니다.갈등은보편적으로존재하며순수한세상은존재하지않습니다.일부문제에서중미양국간에서로다른견해와의견상이가존재하는것은피할수없으며관건은어떻게관리통제하냐하는것입니다.가장핵심적인것은쌍방이서로존중하고구동존이(求同存異)하며건설적인방법으로이해를증진하고공감대를확대하면서갈등을협력포인트로전환하기위해노력해야합니다.”

-2015년 9월 22일 시진핑 주석의 워싱턴 주와 미국 우호단체 환영연회 연설에서

출처:

해와달은빛이다르고

낮과밤이따로있네

현명한사람은아부하지않고

들어오고나갈때를아네

유독나하나만어리석어

기인의가르침을얻고자하네

학의춤을추려하니

놀란들오리울음을우네

큰우아함은진술하기어렵고

바른소리는정처없이떠도네

그대대장부의눈물있어도

자기자신을울지않고

초산의옥을읊으며

눈물로옷깃을적시네(義淚沾衣巾).

-맹교

해석:

‘일월불동광(日月不同光),주야각유의(晝夜各有宜)’는당(唐,618~907년)나라때의시인맹교(孟郊,751~814년)의오언시의한구절이다.이시구는얼핏보면자연현장을묘사한것처럼보이지만‘현철불구합(賢哲不苟合),출처역대시(出處亦待時)’,즉현명한사람은아부하지않고들어갈때와나갈때를안다는깊은뜻을내포한다.

‘일월불동광(日月不同光)’은의“해와달,그리고별들은(日月星辰)어떤것은빠르고어떤것은느리게움직이며(或疾或徐)해와달은다르게(日月不同)달리면서도빠짐없이자신의길을운행한다(以盡其行)”는구절에서기원한다.

맹교는평생실의에빠지는삶을살았지만여전히‘이아독미견(而我獨迷見)의구이사지(意求異士知)’의유용한삶을살기위한적극적인마음상태를유지했다.이어시인은또‘대아난구진(大雅難具陳)정성이표륜(正聲易漂淪)’이라는,현실에대한불만을표시했다.하지만이어지는‘군유장부루(君有丈夫淚)읍인불읍신(泣人不泣身)’이라는시구로자신의고양된정감을보여주면서‘세상사를자신의일처럼여기는(天下爲己任)’대장부는흉금을보여주었다.맹교는이시구로자신의벗을격려한동시에스스로도격려한것이다.

해와달이바뀌고낮과밤이교체된다는가장범상한사물을통해가장깊이있는이치를설명한고시는세인의주목을받는외교장소에서인용되어한나라정상의같은것을찾고다른것을보류하는구동존이(求同存異)와개방,관용의흉금을표현했다.

시진핑주석은이고시를인용해서로다르기때문에세계가다채롭고서로이견이있기때문에같은것을모으고다른것을변화시키는취동화이(聚同化異)가필요하다고지적했다.국가들간에의견상이가존재하는것은피할수없으나의견상이가있으면서로대립할것이아니라서로존중하고공감대를모아갈등을협력의포인트로전환해야한다는이것이바로시진핑외교사상의뚜렷한특색이다.

시진핑 주석은 상이한 문명을 대함에 있어서 “문명은 교류로 인해 다채롭고, 문명은 상호 벤치마킹으로 인해 풍부하다”고 지적하고, 상이한 사회제도를 대함에 있어서 “각자의 사회제도와 발전의 길을 독자적으로 선택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상이한 나라를 대함에 있어서 “대소와 강약, 빈부를 막론하고 모든 나라는 국제사회의 평등한 일원으로 반드시 서로 존중하고 평등하게 대하며 진지하게 서로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이 제출한 이런 평등, 상호 신뢰의 새로운 권력관과 협력상생의 공동 이익관, 그리고 포용과 상호 벤치마킹의 새로운 문명관은 세계의 미래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