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족의 세시풍속과 금기
리족은 예의를 중히 여기는 민족이다. 예의는 리족 사회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데 그 내용이 풍부하며 생산과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반영된다.
연석(宴席)예의
연석예의란해남성의리족이손님을접대하는음식예의를말한다.리족은식사시남자손님에게는먼저술을권하고밥을올리나여자손님에게는그반대로먼저밥을올리고다음술을권한다.주인과손님은서로마주앉으며주인이두손으로술잔을들어올려손님에게건배를요청한뒤먼저잔을비운다.그리고미주(米酒)를손님에게일일이권하며손님이잔을비우면입에고기요리를한점집어넣어주어존경을표한다.또주인은술만손님과함께마시고식사는손님과함께하지않는다.그것은손님이체면을차리며제대로식사하지못할가봐배려해서이다.
화해예의
해남성리족거주지역에는리족어로‘친차’(蕊岔)라고하는일종의화해예의가있다.그뜻인즉‘좋은얼굴을보이다’이다.싸움이발생한쌍방간화해의방식으로각자1명의과부를중재원으로파견하며이외각자대표1명씩선출한다.과부가먼저몇개의동전을맑은물에던지면쌍방의대표가그동전을건져내어대방의눈에닦는다.그리고는서로대방의동전을머리뒤로던진다.나중에는서로술을권하며철저히화해를한다.
파종예의
해남성의리족은보통음력2월춘분을전후해올벼를심으며7월입추를전후해늦벼를심는다.매계절모내기전이면밭머리에서먼저푸른잎의나뭇가지를꺽어집문앞에건다.그리고아내는새옷과새일자치마를입고아침일찍밭에나가100그루의모를심으며그옆에나뭇잎과붉은등나무잎을꽂아놓아벼혼(稻魂)이임자가있음을알린다.그뒤에는마을에서보통여성들만이밭에나가모내기를할수있다.모내기의첫날아내는낮에침대에누워서쉬어서는안되며길에서다른사람과대화를주고받아서도안된다.민간에서는대낮에침대에누워쉬면여성들이모내기속도가더뎌진다고여기며외인과대화할경우좋은운을날려벼의생장에불리하다고여긴다.
혼인풍속
리족의 혼인은 보통 일부일처제를 실시하며 동족간 혈연관계가 있는 청년남녀의 통혼을 엄금한다. 아들이 결혼하면 부모는 집을 지어주며 길일을 택해 분가하도록 한다. 리족인들의 가정은 아주 화목한 바 부부가 서로 아끼며 노인을 존경하고 아이를 사랑하며 동고동락한다. 자녀에 대한 교육은 아주 엄하며 보통 부모가 전통관념으로 규범적으로 행동하도록 자식에게 영향을 준다. 때문에 리족은 자고로 혼인가정구조가 아주 단단하며 아내를 죽이거나 자식을 버리는 등 악성사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마을의 한 가정이 재난을 당하면 온 마을이 구원의 손길을 뻗친다. 리족 사회에서 부부는 지위가 평등하며 출가한 여성이 남편의 행패를 당할 경우 본가집 형제들이 나서서 규탄하고 처벌을 안긴다. 또 출가한 여성이 사회공덕에 어긋나는 행위를 범하면 시집과 본가집이 함께 배상책임을 안는다.
리족은 이혼식을 치른다. 부부간 협의 이혼시에는 우선 각자 부모에게 보고한 뒤 남자 측이 마을에서 명망이 높은 사람을 청해 이혼식을 주재한다. 남자 측에서 돼지를 잡고 술상을 차리며 양가의 친지 대표가 각기 양 켠에 자리를 차지하고 마을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혼사유와 양측 부모의 태도표시를 통보하며 친지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만장일치로 동의할 경우 이혼식을 진행한다. 술좌석에 그릇 세 개를 놓는데 하나는 술이 가득 담기고 둘은 빈 그릇이며 검은 천으로 그릇 아구리를 덮는다. 사회자가 그 검은 천을 두 쪼각으로 찢으면 이혼 당사자들이 한 쪼각씩 가지며 이는 혼인관계 해제의 빙증이 된다. 그 뒤 사회자가 가득 담긴 술잔의 술을 두 개의 빈 그릇에 붓고 이혼쌍방이 각기 그 술을 마시면 이혼이 사실화된다. 사회자는 또 이혼자의 재산상황에 근거해 모두가 모인 자리에서 각 측이 나누게 되는 재산을 공개하며 여자측의 재산은 본가집 형제들이 메고 돌아간다. 또 다른 한 경우 부부 한 측이 이혼을 원하지 않지만 부득이 이혼하게 될 경우 여자가 이혼 제기측이면 남자측 약혼예물을 돌려야 하고 남자측이 이혼을 제기하면 여자측은 약혼예물을 돌리지 않는다.
장례 풍속
리족은 보통 토장을 행한다. 장례풍속은 지역과 방언의 차이에 따라 약간 다르다. 오지산 복지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총소리로 부고를 전하며 남성 망자는 단독 나무관에 넣어 본 마을 씨족의 공공묘지에 매장한다. 그리고 외래촌에서 시집온 여성들은 본가집으로 돌려보내 본가집에서 장례를 치르도록 하며 본가집 묘지에 매장한다. 리족은 생전에 관목을 마련하는 행위가 불길하다고 여겨 미리 장만하지 않으며 친인이 숨을 거둔 후 가족이 산에 올라가 벌목하여 나무관을 만든다.
리족은세간에길혼(吉魂)과흉혼(凶魂)이존재한다고여긴다.리족은비정상사망자를‘흉혼’귀신으로간주해조상의묘산에산소를쓰지못하게하며밖에서사망하면마을로시신을들여오지못하도록하고사망한곳에매장하도록한다.합묘제(合畝製)지역에서는붉은색상복을입고비정상사망자를매장하며동방지역의합방언(合方言)은비정상사망의경우시신을엎드린자세로매장하며무덤위에나무봉을박아넣는다.이는‘흉혼’이인간세상에나와사람들을괴롭히는것을방지한다는의미이다.
음식 금기
리족은 고양이를 집안의 부뚜막신으로 간주하는 풍속이 있어 고양이 고기를 시식하지 않으며 집 고양이가 죽으면 매장한다. 그리고 리족의 민간에는 임신한 여성들이 뱀과 원숭이 고기를 먹으면 기형아를 낳는다는 설이 있어 임신부들은 절대 뱀과 원숭이 고기를 입에 대지 않는다. 또 오지산 지역의 리족 여성들은 아기를 낳은 후 산욕기 기간 물고기와 계란을 먹지 않는다. 그것은 비린내 나는 음식을 먹으면 부인병에 걸린다고 믿기 때문이다.
리족의 이런 독특한 세시풍속과 금기들은 오늘 날 사라진 부분이 적지 않지만 리족이 집거한 편벽한 산간지역에서 여전히 주요한 풍속으로 남아 내려오는 것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