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오피니언]분찬제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

cri2020-08-25 10:41:11

요즘 중국 전역에서 음식물 쓰레기 감소와 위생적이고 문명한 식사습관 형성 차원에서 음식을 테이블에 올리고 모두가 나누어 먹던 공찬제를 음식을 1인분씩 나누어 따로 먹는 분찬제로 바꾸고, 혹은 공용 수저로 음식을 자기앞의 작은 접시에 덜어 먹는 운동이 한창이다.

큰 테이블에 다양한 요리를 큰 그릇에 담아 올리고 둘러 앉은 사람들이 서로 나누어 먹고 가끔 자신의 젓가락으로 다른 사람에게 요리를 집어 주는 것으로 호의를 표시하기도 하는 공찬제는 쉽게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나 단점도 적지 않다.

공찬제는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 먹는 식사습관을 말한다.

따라서 젓가락은 바이러스 전파의 운반체가 되어 타액을 통해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물론이고 위염이나 B형 간염과 같은 질병도 옮긴다.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 감염자와 함께 식사한 경우 다수가 감염된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공찬제는 또 음식물 낭비를 조장한다.

여러 사람이 여러 가지 요리를 시켜놓고 각자 원하는 요리를 먹기 때문에 젓가락을 많이 받지 못한 요리는 거의 그대로 남는 잔반현상이 많아져 음식물 쓰레기가 대량으로 생긴다.

자신이 원하는 종류와 양의 음식물을 자신만의 그릇에 담아 먹는 분찬제는 바이러스 전파와 음식물 낭비라는 공찬제의 이런 폐단을 극복하는 위생적이고 문명한 식사습관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공찬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분찬제도 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가끔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에 가면 농부들이 큰 주발 하나에 쌀밥과 요리를 함께 담아서 덮밥 형식으로 먹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큰 규모의 국제적인 행사의 연회에서도 분찬제를 자주 볼 수 있다. 크고 둥근 테이블의 가운데는 요리 대신 생화가 향기를 풍기고 웨이터들이 직접 음식물을 손님들의 앞 접시에 덜어준다. 손님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이 원하지 않는 요리는 사양하고 양도 식량에 따라 정함으로써 음식물 낭비를 최소화한다.

사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 각지의 최초 식사습관은 모두 분찬제였다.

음식물이 부족하고 조리수단이 원시적이던 고대에는 음식물을 평균적으로 나누어야 했고 공정과 공평을 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음식물을 인구수에 따라 평균적으로 나누어 구성원들에게 배분하는 분찬제였다.

중국도 마찬가지로 원시사회에서 기원한 분찬제는 그 뒤에 계속 이어졌다.

청동으로주조한정(鼎)은권력의상징이지만최초에는육류를삶는큰솥이었다.큰솥에서음식을만들어각자소반에놓인작은그릇에담아식사를하거나연회를치렀다.

춘추전국시대의연회에서는참석자들이모두바닥에앉아각자앞에놓인소반에올려진음식물을먹으며만찬을즐겼고상대방에좋지않은의도를품고치르는연회석으로유명한홍문연(鴻門宴)에서도주인과손님모두가각자소반에음식을올린분찬제를볼수있다.

사회의 진보와 함께 식사습관에도 변화가 생겼다.

조리법의발전과음식물의다양화에따라,낮고작은소반이높고큰테이블로바뀌고바닥에앉던데로부터의자를이용함에따라,유목민족음식습관의영향에따라함께나누어먹는공찬제가송(宋)나라때부터역사무대에모습을보이기시작하고분찬제가뒤로밀려난다.

오늘날 중국의 일반 가정에서는 식구들이 다양한 요리들이 올려진 한 테이블을 둘러싸고 환담을 나누며 식사를 즐긴다. 회식자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원수에 따라 비슷한 수의 요리를 올리고 웃고 떠들며 식사보다는 대화에 집중한다. 잔치는 더욱 심각하다. 전채요리부터 본요리, 식사, 디저트에 이르기까지 수십 가지의 요리가 풀코스로 올라 음식물 접시가 테이블에 입체로 쌓여 일부는 젓가락이 한 번도 닿지 못할 정도이다.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가자면 공찬제 식사에서만 친목을 다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분찬제로 된 식사나 회식에서도 마찬가지로 대화와 환담을 즐기고 친목을 다질 수 있다. 그리고 분찬제는 공찬제에 비해 위생적이고 음식물도 절약하니 일석삼조의 좋은 식사습관이라 하겠다.

이 세상 모든 것은 변하기 마련이고 사회의 진보에 따라 전통과 습관도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아무리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관행이지만 폐단을 가지고 있고 시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주저하지 말고 버려야 하고 한 동안 잊었던 관행이지만 필요하면 다시 찾아야 할 것이다.

전통이라고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그대로 받아 들이면 발전이 있을 수 없다. 훌륭한 전통은 이어 받고 시대에 떨어진 전통은 버려야 전통의 발전과 인간의 진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오늘날 사람들이 공찬제라는 오랫동안 몸에 배인 습관을 버리고 분찬제라는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려면 정부와 사회, 개개인 모두가 동참해서 생각부터 바꿔야 하루라도 빨리 분찬제가 우리 식생활의 주인공이 될 것 이다.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뀐다.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