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불절(滔滔不絶)
cri2023-01-13 17:06:52
◎글자풀이:물넘칠도(滔tāo),아닐불(不bù),끊을절(絶jué).
◎뜻풀이: ①끊임없이 흐르다. ②끊임없이 말하다.
◎출전:오대(五代)왕인유(王仁裕)『개원천보유사•주환지변(開元天寶遺事•走丸之辯)』
◎유래:장구령(張九齡)은당현종(唐玄宗)때의유명한재상이고시인이었으며달변가였다.역사기재로보면장구령은사람을보는안목이남달랐다.당시무혜비(武惠妃)의베개밑송사로당현종은이림보(李林甫)를재상으로임명하려했으며장구령의의사를물었다.이에장구령이이런답을올렸다.“재상의자리는모두가우러러보는자리이니잘못된인사를한다면나라에재앙이생길것이옵니다.”이말을들은당현종이몹시불쾌해했다.
어느 하루는 당현종이 측근들을 연회에 초청했다. 그는 연못에 있는 물고기들을 가리키며 장구령과 이림보에게 말했다. “연못에 기르는 저 몇마리 물고기들이 짐의 마음에 드는구나.” 이에 이림보가 이렇게 추켜세웠다. “물고기들이 폐하의 바다같은 성은을 입었습니다.” 허나 장구령은 “연못의 물고기는 폐하의 신하들과 마찬가지로 풍경의 한 부분일 뿐이고 폐하의 흥을 돋울 뿐입니다.”고 말했다.
『개원천보유사』의기록에따르면“만약손님이나친구들이있는곳에서경서의뜻을말할라치면장구령의말은끊임없이흐르는강물과같았고마치탄환이비탈을따라굴러내려가는듯거침이없었다(滔滔不絶)”고했다.
성어 “도도불절”은 여기에서 유래되었으며 말이 많아 마치 사품치며 흐르는 강물과 같아 끊김이 없음을 형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