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입설(程門立雪)
◎글자풀이:한도정(程 chéng),문문(門 mén),설입(立 lì),눈설(雪 xuě).
◎뜻풀이: 스승을 공경하여 가르침을 받다(기다리다).
◎출전:원나라(元)탈탈(脫脫)등『송사•양시전(宋史•楊時傳)』
◎유래:정호(程顥),정이(程颐)형제는북송(北宋)때의유명한철학가,교육가이다.이들의문하에가르침을청하러오는사람들이많았는데그중에는양시(楊時)와유초(遊酢)도있었다.
양시는어릴때부터총명하였고무슨일이든끝까지묻는성격이었다.그는반응이빠르고말주변이좋았으며어른이되어서는경사(經史)연구에집중했다.유초는양시의친한벗으로두사람은뜻이같아늘함께문제를토론하며날을밝히군했다.
양시는일반문인들과는달라진사(進士)에급제했으나명리를쫓지않았으며몇번이나벼슬길에나설기회를포기했다.이는이학(理學)연구에집중해최고의경지에이르려는그의뜻이굳건하였기때문이다.당시정호는하남(河南)영창(潁昌)에거주하고있었다.양시는늘정호를찾아가르침을청하면서스승의예로모셨으며많은가르침을얻게되었다.
양시가마흔살이되던해에송철종(宋哲宗)이정호를종정사승(宗正司丞)으로임명했다.허나양시가스승을위해송별연을차리기도전에정호는병으로사망했다.양시는비통을금할수없었고이어스승의이론을크게발전시키리라결심했다.이학의정수를장악하기위해양시는낙양(洛陽)에있는정이를찾아가스승으로모시려했다.이를알게된유초도양시와함께떠났다.
낙양에 도착했을 때는 날이 어두워졌고 두 사람은 객사를 찾아 짐을 풀었다. 저녁에 양시와 유초는 가르침을 청할 문제들을 정리하느라 밤늦게 잠자리에 들었다. 이튿날 두 사람은 의관을 정제하고 정이의 집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큰 바람이 불어쳤고 이어 눈발이 날렸다. 정이의 집에 도착하니 마침 정이는 잠시 눈을 붙이고 있었다. 두 사람은 창가밖에서 공손하게 서서 정이가 깨기를 기다렸다.
이때 바람이 점점 거세지고 눈도 더 크게 내렸다. 두 사람은 한기가 뼈속까지 스며 들었으나 정이의 휴식을 방애할까봐 발도 구르지 않았다. 그 공손한 태도는 유비가 삼고초려를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을 감동케 했다.
큰눈이 두 사람의 발등을 덮을 때 쯤 정이가 깨어났다. 그는 창가에서 눈사람으로 변한 양시와 유초를 보고는 크게 감동을 받았고 두 사람을 집에 들어오게 했다. 이때부터 정이는 자신의 평생의 학문을 이 두 제자에게 전수했다. 양시와 유초는 더욱 부지런히 학문에 정진했으며 연구를 거듭하여 끝내는 이학의 대가로 되었다.
양시가죽은후원나라의문인사응방(謝應芳)은이런시를남겼다.
“탁피문정공(卓彼文靖公),조립정문설(早立程門雪).”
후에 사람들은 정문입설이라는 성어로 스승을 지극히 존경하고 진심으로 배움을 청하는 뜻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