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풍성학려(風聲鶴唳)

cri2021-06-29 18:28:20

◎글자풀이:바람풍(風 fēng),소리성(聲 shēng),학학(鶴 hè),학울려(唳 lì).

◎뜻풀이: ①바람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도 모두 적병으로 의심하다. ②겁을 집어먹은 사람은 하찮은 일에도 크게 놀란다.

◎출처:당(唐)방현령(房玄齡)등『진서•부견재기하(晉書•符堅載記下)』

◎유래:동진(東晉)효무제(孝武帝)태원(太元)8년(기원383년)전진(前秦)의선소(宣昭)황제부견(符堅)이35만의대군을휘솔해남쪽으로동진을공격했으며한꺼번에동진정권을무너뜨리려했다.효무제가대장사석(謝石)과사현(謝玄)에게8만의군사를주어적을막게했다.

안휘(安徽)낙간(洛澗)부근에서동진의군대는이미진을치고전진군을기다리고있었다.사현은당시의상황을잘판단해보고는용맹한장군인류뢰지(劉牢之)에게정예군사5천을주어밤에전진군의군영을습격하도록했다.이전투에서부견의25만선봉부대는양성(梁成),왕현(王顯)등10명의장수와만여명에달하는군사들이목숨을잃었다.이는전진군의사기를크게꺾어놓았다.

이어진나라군사들은수로와육로로병진하면서유리한지형을장악했다.당시부견은동생인부융(符融)과함께수양성(壽陽城)성루에있었는데진나라군사들의진세가정연하고사기가높은것을발견했다.그가북쪽의팔공산(八公山)을바라보니초목이모두사람으로보이고천군만마가매복해있는듯하였다.부견이머리를돌려부융에게이렇게말했다.“산과들에적군이널려있는데어찌진나라의군사가적다고한단말이냐!”그런부견의얼굴에실망과두려움이짙게깔렸다.

이미겁을먹은부견이대담한진공을펼치지못하고비수(淝水)의북쪽에진을쳤다.이때사석과사현이사신를부융에게보내전진군이군사를좀뒤로물려주면진나라군이강을건너와서로결전을치르자고했다.부융은적군이강을건너는도중에돌연습격을가해일거에쓸어버리려는생각으로진나라군의요구를들어주고퇴병하라고수하군사들에게명했다.

그런데 퇴각령이 내려지니 군졸들은 아군의 선두부대가 패한 줄로 생각해 너도나도 도망치기 시작했으미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번져 진세가 흔들렸다. 진나라 군대가 이를 틈타 강을 건너 추격을 하니 동진군은 여지없이 패하고 시체가 들판을 뒤덮었다. 부융이 전사하고 부견은 화살을 맞은 후 패잔병들을 수습해 북쪽으로 걸음아 날 살려라 하고 도망쳤고 길에서 바람소리가 학울음소리가 들려도 진나라 군이 추격해 오는줄로 알았다.

비수의 전투에서 전진군은 거의 궤멸되었고 그후 얼마 안되어 나라도 무너지게 되었다.

Close
Messenger Pinterest LinkedIn